LG전자가 오는 2030년까지 추진하고 있는 온실가스 저감 및 폐기물 재활용률 목표를 향해 순항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해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담은 '2024-2025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30일 발간했습니다.
LG전자가 지난해 국내외 사업장에서 배출한 직접(Scope1) 온실가스와 간접(Scope2) 온실가스는 총 91만 톤(tCO₂eq,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이는 2030년 배출량 목표치인 87.8만 톤에 근접한 수준입니다.
LG전자는 2030년까지 2017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54.6%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생산 공정 내 에너지 고효율 설비 도입 및 재생 전력 전환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AI, 코어테크 등 고효율 기술을 확대하며 제품 사용단계(Scope3) 온실가스 저감에서도 목표 달성에 가까워졌습니다.
지난해
LG전자 7대 주요제품 사용단계 탄소배출량은 지난 2020년 대비 19.4% 줄었습니다.
앞서
LG전자는 국내 가전업계 최초로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의 검증을 받아 2030년까지 7대 주요제품 사용단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년 대비 20%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습니다.
자원순환 노력에도 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LG전자 국내외 사업장 폐기물 재활용률은 지난해 97.4%로 2030년 목표(95%)를 초과 달성했습니다.
지난해 56개국 91개 지역에서 회수한 폐전자제품의 양은 53만 2,630톤으로, 2006년부터 누적 회수량은 500만 톤을 넘어섰습니다. 지난해 재활용플라스틱 사용량 역시 직전 년도 대비 36% 늘었습니다.
제품과 서비스 접근성도 지속 강화하고 있습니다.
성별, 나이, 장애 유무에 상관없이 가전을 손쉽게 사용하도록 돕는 LG 컴포트 키트(LG Comfort Kit)는 14종까지 늘어났습니다.
올레드 TV에 탑재된 '음성으로 메뉴 읽어주기', '보청기·스피커 동시듣기' 기능이나 높낮이 조절 및 촉각 키패드를 적용한 키오스크 신제품도 대표적입니다.
서비스 측면에서는, 장애인 케어, 수어 상담, 시니어 전용 상담 및 매장 내 안전·IT·문화강좌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준법과 윤리경영을 최우선으로 두고 전문성과 독립성, 투명성을 갖춘 이사회를 중심으로 책임 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사회 산하 E
SG 위원회의 역할을 지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공급망 측면에서도 상생 차원의 다양한 지원을 이어간다는 계획입니다. 국제 RBA(Responsible Business Alliance, 책임 있는 비즈니스연합) 기준에 따라 노동, 안전보건, 환경 윤리 등 영역에서 협력사 E
SG 리스크 선제 대응을 위한 제3자 E
SG 인증심사도 지원합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LG전자는 S&P글로벌 기업 지속가능성 평가(Corpor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CSA)에서 2년 연속 최상위 등급 'Top 1%'에, 글로벌 E
SG 평가기관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의 평가에서는 5년 연속 A등급을 받고 있습니다. 다우존스 'Best-in-class World Index'에는 13년 연속 편입됐습니다.
[ 김용갑 기자 / gap@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