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로 회피하던 텔레그램
지난해 10월부터 경찰 수사 적극 협조
경찰 수사 자료 요청에 95% 이상 답변
警, 타 메신저와도 수사 협조 협의 중
 |
텔레그램 사용 이미지. [연합뉴스] |
개인정보 보호를 강점으로 내걸며 범죄자들이 ‘애용’하던 텔레그램이 국내 경찰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
그간 국내 수사망 밖에 있던 텔레그램이 최근 수사에 적극적인 태도로 선회하면서 범죄자 검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경찰은 범죄자들의 ‘메신저 망명’에 대비해 텔레그램 외 해외 메신저 기업과도 적극적인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29일 경찰청에 따르면 텔레그램은 지난해 10월부터 한국 경찰의 수사 협조 요청에 대해 95% 이상 응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제공받은 자료는 1000여 건으로, 나머지 5%는 텔레그램 측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텔레그램은 수사기관이 요청서를 제출하면 자사 정책과 국제법 위반 여부를 검토한 뒤 가입자 정보·IP 기록 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협조하고 있다.
실제 경찰은 텔레그램의 협조를 바탕으로 성착취, 마약, 딥페이크 등 사이버 범죄를 집중적으로 검거하고 있다.
경남경찰청은 지난 5월 딥페이크 합성물을 제작하고 배포한 10대 고교생을 구속하고, 공범 23명을 검거한 바 있다.
경찰은 지난 2월 텔레그램에서 입수한 정보를 토대로 위장 수사와 텔레그램 본사와의 공조를 통해 이들을 적발했다.
이 같은 태도 변화는 지난 2024년 8월 파벨 두로프 텔레그램 최고경영자(CEO)가 플랫폼 내 아동 성착취물 유포, 마약 밀매, 자금 세탁 등 범죄 콘텐츠 방조 및 수사 협조 거부 혐의로 체포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로프 CEO가 기소된 이후 텔레그램은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변경하며 수사기관 협조 방침을 전면 개편했다.
한편 텔레그램을 통한 수사기관의 압박이 거세지자 범죄자들이 시그널, 바이버 등 기타 해외 메신저로 옮겨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경찰청은 이에 대비해 타 메신저들과도 수사 자료 제공을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