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 게임3’ 이정재. 사진|넷플릭스
전 세계가 기다려온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시즌3가 베일을 벗은 가운데, 해외 언론은 대체로 냉정했다.


지난 27일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 시즌3가 공개된 후 외신들도 잇따라 리뷰를 내놨다.


이번 작품은 자신만의 목적을 품고 다시 참가한 게임에서 가장 친한 친구를 잃고 만 기훈과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들었던 프론트맨, 그리고 그 잔인한 게임 속에서 살아남은 참가자들의 마지막 운명을 그린다.


이에 뉴욕타임즈는 “일차원적이고 예측 가능하다.

준호(위하준 분)가 게임의 무대가 되는 섬을 찾는 과정은 결말까지 무의미한 서브플롯으로 남아 있고, 가면을 쓴 VIP들이 등장하는 장면들은 이전보다 훨씬 더 만화 같을 뿐 아니라 아무런 의미도 없다”고 혹평했다.


이어 “황동혁 감독은 여전히 액션을 능숙하게 연출하지만, 이 부분에서도 상상력은 부족하다.

마지막 두 편의 게임은 구상 자체가 빈약하고, 유일한 서스펜스는 희생자의 선택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했다.


영국 가디언지는 “시즌2와 시즌3가 하나로 묶였다면 훨씬 탄탄한 시즌이 됐을 것”이라며 “잔혹함은 더 심해졌고, 폭력은 끊임없는 고문처럼 계속되며, 초기 시즌에서 느껴졌던 풍자는 점점 사라졌다.

남은 참가자 중 상당수는 그냥 양심 없이 사람을 죽이는 잔인하고 끔찍한 인물들일 뿐이다.

분명 볼거리는 있지만, 시즌1처럼 날카로운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아쉬워했다.


할리우드 리포터 역시 “시즌3은 가끔 나오는 몇 마디 통찰을 얻기엔 지나치게 먼 여정이고, 그 과정 또한 대체로 불쾌한 경험”이라고 평했다.


그러면서 “첫 시즌과 달리 끝까지 암울하고 절망적일 뿐이다.

시즌 2에 등장한 새로운 인물들이 실망스러울 정도로 빈약하게 느껴졌다면, 시즌 3에서는 그들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는다.

이들 모두의 공통점은 행동력과 내면을 가진 복잡한 인간이라기보다는 체스판 위에서 밀리는 말들처럼 보인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오징어게임3’ 사진|넷플릭스
긍정적인 반응도 있었다.

타임지는 ‘오징어 게임’ 시즌3 공개 이후 “넷플릭스가 별 의미 없이 시즌 2의 결말을 미뤘던 건 큰 타격이었다.

하지만 다행히도 황동혁 감독은 다시 작품의 주도권을 쥐었고, 마지막 시즌에서 다시 본연의 잔혹한 매력을 발휘하며 강렬한 한 방을 선사한다”고 호평했다.


이어 “돈이 인간성보다 우선되는 세상을 고발하면서, 그런 세상을 무심히 즐기는 우리까지도 그 공모자로 끌어들인다”고 덧붙였다.


미국 영화전문지 인디와이어는 “대부분의 캐릭터는 예상대로 끝을 맺지만, 연기는 강렬하고 감동적이며, 에필로그의 몇몇 화려한 장식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다”며 “아직 자리에 앉아 있는 사람을 만족시킬 만큼 충분한 마무리를 제공하고, 짧고 덧없는 빛의 폭발은 어둠 속에 극심한 진실을 드러낸다”고 했다.


‘오징어 게임’ 시즌3는 미국 영화 비평사이트 로튼토마토에서 현재 평론가 신선도지수 86%와 일반 시청자 점수인 팝콘지수는 52%를 기록 중이다.

시즌1은 신선도지수 95%와 팝콘지수는 83%를, 시즌2는 신선도지수 83%와 팝콘지수 63%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 2021년 공개된 ‘오징어 게임’ 시즌1은 미국 방송계 최고 권위상인 에미상 시상식에서 6관왕을 달성하며 새 역사를 썼다.


‘오징어게임’ 시즌1과 2는 넷플릭스 역대 비영어권 시리즈 가운데 1위와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시즌1과 시즌2는 두 시즌 통합 누적 조회수 약 6억 시청수(시청 시간을 작품의 총 러닝 타임으로 나눈 값)를 기록했다.


넷플릭스 시즌1 누적 시청 시간은(공개 이후 91일 기준. 이하 동일) 22억 520만 시간, 시즌2는 13억 8010만 시간이다.

두 시즌의 누적 시청 시간을 더하면 무려 35억 8530만 시간을 나타냈다.


‘오징어게임’ 시즌3는 이전 시즌에 이어 황동혁 감독이 연출, 각본, 제작을 맡았다.

배우 이정재, 이병헌, 위하준, 임시완, 강하늘, 박규영, 이진욱, 박성훈, 양동근, 강애심 등이 출연했다.


피날레를 맞는 ‘오징어 게임’은 28일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핑크 가드 등 상징적인 아이콘이 참여하는 퍼레이드를 진행한다.

황동혁 감독과 배우 이정재, 이병헌 등이 참가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