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
미국과 중국이 초고율 관세전쟁 ‘휴전’ 이후 불거진 공급망 갈등을 봉합하는 합의에 서명한 것으로 26일(현지시간) 확인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우리는 어제 중국과 서명했다”며 미중 합의 체결 사실을 공개했다.
이번 합의는 지난 5월 제네바에서 열린 1차 고위급 무역 협상 이후 남아있던 희토류·반도체 공급망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이달 9~10일 런던에서 열린 2차 고위급 회담의 합의사항을 구체화한 것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중국과 24일 서명했으며, 이번 합의는 무역대화에서 이뤄진 내용을 성문화한 것”이라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중국이 희토류 공급을 재개하면, 미국은 반도체 수출 통제 등의 맞대응 조치를 철회할 것”이라고 전했다.
백악관 관계자도 로이터에 “미·중은 제네바 합의 이행을 위한 추가 양해에 동의했다”며 “이 양해에는 중국의 대미 희토류 공급 속도를 높이는 방안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양국은 5월 제네바 협상에서 90일간 상호 관세율을 115%포인트씩 인하하기로 합의해, 미국의 대중국 관세율은 30%, 중국의 대미 관세율은 10%로 낮춘 바 있다.
그러나 이후 중국의 대미 희토류 수출 통제 유지,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와 중국 유학생 비자 취소 방침 등을 놓고 갈등이 재점화됐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열린 런던 2차 협상에서 양국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재개, 미국 내 중국 유학생 체류 허용,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완화 등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했다고 밝힌 합의에는 이 내용이 구체적으로 담긴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우리는 일부 거대한 합의를 추진하고 있다”며 “곧 인도와 매우 큰 무역합의를 체결할 것”이라고 예고하기도 했다.
현재 미국은 7월 8일 만료 예정인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앞두고 57개 경제 주체(56개국+유럽연합)와 관세·무역 장벽 해소 협상을 진행 중이다.
러트닉 장관은 “약 2주 내 ‘선두 10개국(Top 10 deals)’과 무역 합의를 우선 체결해 다른 국가들이 이를 기준 삼도록 할 것”이라며 “추가 협상을 원하는 국가는 협상 자격이 있지만, 관세율은 미국이 최종 결정해 통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상호관세 유예 시한 연장 여부에 대해 “연장될 가능성이 있지만, 최종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의 판단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