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키·화장품 등 ‘초저가’ 열풍
대형마트, 편의점 등 ‘가성비 전쟁’
두부·운동화·하이볼…저가 PB 승부수
“이윤보다 고객” 노마진 전략 확산
 |
‘저스트 포 하이볼’. [사진 = 이마트 제공] |
지난해부터 뜨거워진 유통업계의 ‘초저가 경쟁’이 올해 들어 더 치열해지는 모양새다.
PB(자체 브랜드) 상품을 중심으로 초저가 상품을 선보이며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는 업체들이 점점 늘고 있다.
일부 업체에선 초저가를 맞추기 위해 마진을 줄이거나, 사실상 ‘노마진’ 전략을 감수하면서 소비자 유입을 노리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최근 5980원 초저가 위스키 ‘저스트 포 하이 볼’(Just for Highball)을 선보였다.
하이볼용으로 출시된 제품이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현재 시판 중인 위스키 원액 중에선 가장 저렴한 편에 속한다.
해당 위스키로 만들 수 있는 하이볼은 355㎖ 잔 기준으로 8잔 안팎으로, 한 잔당 800원이 채 되지 않는다.
제조 원가를 낮추기 위해 유리병이 아닌 페트병을 사용했다.
앞서
이마트는 지난 4월 초저가 화장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마트는
LG생활건강과 협업해 스킨케어 화장품 ‘글로우:업 바이 비욘드’를 출시했는데, 8종 모두 4950원으로 다이소 화장품 못지않게 저렴한 편이다.
또한
이마트가 운영하는 자체 브랜드(PB)
노브랜드는 2만9980원짜리 운동화를 출시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롯데마트는 먹거리 상품에서 초저가를 선보이고 있다.
지난 4월 출시한 1000원짜리 PB 두부와 콩나물(이상 300g)이 대표적인 사례다.
일반 상품 대비 50% 이상 저렴하게 판매해 해당 상품군에서 판매량 상위 5위 안에 들 정도로 인기가 있다.
롯데마트가 지난해 6월 선보인 ‘요리하다 월드뷔페’는 양식·일식·중식 등 40여종의 메뉴를 3000대와 4000원대 두 종류의 균일가로 맞춘 즉석조리식품(델리)이다.
 |
CU의 초저가 상품. [사진 = BGF리테일 제공] |
초저가 상품은 편의점 업계에서도 화두다.
‘편의점은 비싸다’는 편견을 깨고 소비자 가까이에서 저렴한 제품을 제공하는 전략이다.
BGF가 운영하는 편의점 CU는 880원 육개장, 990원 삼각김밥·과자·채소·가공유 등 1000원 미만의 초저가 상품을 선보였다.
최근에는 2900원짜리 캡슐커피(10개입)를 선보이며 초저가 라인업을 넓혔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는 올해 가성비 뷰티 제품 라인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GS25는 ‘싸이닉 수분 톤업 선크림’, ‘싸이닉 히알스피큘 150샷’, ‘이츠비 레이샷 100’, ‘이즈앤트리 어니언 프레쉬 겔크림’ 등 3000원대 가성비 뷰티 상품을 선보여 큰 호응을 얻었다.
기초화장품부터 색조화장품까지 상품군도 다양하게 늘려가고 있다.
세븐일레븐 역시 가성비 제품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계란, 두부, 빵, 파우치음료 등 식탁물가에 체감이 큰 생필품 위주로 ‘가격에착!착한’ 시리즈를 기획해 새롭게 선보이고 있다.
이마트24는 올해 초 업계 최저가 시리즈 ‘상상의 끝’을 선보였다.
이처럼 업계에선 원재료 선매입, 공정 효율화 등을 통해 저가 상품을 꾸준히 발굴하고 있다.
또한 마진을 줄이면서까지 가격 낮추기에 몰두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초저가 제품들은 애초에 이윤을 많이 남기지 않을 것을 염두에 두고 내놓는 것”이라며 “마진을 최소한으로 하거나 일부 제품은 사실상 노마진 수준”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