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개발이 가속화하면서 우주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인도우주연구기관(ISRO) 출신들이 잇따라 창업하며 우주 관련 민간기업 수는 미국에 이어 2위로 올라섰다.


22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인도 조사업체인 트랙신을 인용해 인도의 우주 관련 민간기업 수는 지난 5월 172곳으로, 미국(825곳)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우주 분야 민간기업이 자금을 조달한 횟수도 인도가 일본이나 영국을 웃돌고 있으며 금액 역시 2023년 이후 총 2억4000만달러(약 3300억원)에 달했다.

일본은 같은 해 약 3억4000만달러를 조달했다.

지난해 인도 정부가 투자 관련 규제를 완화하면서 자금 조달은 한층 더 활발해지고 있다.


닛케이는 인도가 우주 분야에서 도약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ISRO를 중심으로 한 풍부한 기술 인력을 꼽았다.

ISRO 등 인도의 공적 기관 직원 수는 2만여 명으로 미 항공우주국(NASA)을 뛰어넘었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대비 10배가 넘는 규모다.

또 ISRO 본부가 있는 남부 벵갈루루에는 우주 관련 인력과 기업, 대학 등이 집적되며 생태계가 갖춰지고 있다는 평가다.

닛케이는 위성 발사 비용이 낮아진 점도 이같은 변화 요인으로 들었다.


[도쿄 이승훈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