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수백m 숨어도 전멸”...트럼프, 악명 떨친 ‘벙커 킬러’ 보냈다

미국이 21일(미국 시간) 이란의 핵시설 3곳을 공격한 가운데 ‘벙커버스터 GBU-57(Bunker Buster Guided Bomb Unit - 57)’ 폭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폭스뉴스는 미국이 이란 핵시설의 심장부인 포르도에 벙커버스터 6기를 투하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공군의 전략폭격기 B2. EPA 연합
미 공군에 따르면 벙커버스터는 이론적으로는 폭탄의 중량을 견딜 수 있다면 어떤 폭격기에서 투하해도 상관없으나 실제로는 미국의 ‘B2’ 스피릿 스텔스 폭격기가 벙커버스터 투하에 최적화돼 있다.


로이터 등 외신은 21일(현지시간) 미국이 괌 기지로 B2 폭격기를 이동시키고 있다는 보도를 내놨다.


물론 다른 옵션도 있다.

특공대를 통한 전격적인 지상 공격 혹은 핵폭탄으로 해당 시설을 공격하는 것이지만 작전 수행의 성공 가능성과 부정적 파장을 감안하면 이 둘 보다 벙커버스터가 효과적이다.


벙커버스터(Bunker Buster) GBU(Guided Bomb Unit·유도폭탄)는 폭발 전 지하 깊숙이 침투할 수 있게 설계된 폭탄을 통칭한다.


벙크버스트 컴퓨터그래픽(CG). 연합뉴스
미국이 보유한 벙커버스터 GBU-57 A/B MOP(Massive Ordnance Penetrator·초대형 관통폭탄)는 지하 시설을 초토화하기 위한 용도로 개발한 초강력 폭탄이다.


무게가 13.6톤이나 되는 정밀유도탄인 벙커버스터는 지하 깊이 견고하게 구축된 벙커와 터널을 공격할 수 있다.


지하 61미터까지 뚫고 들어가 폭발한다.

여러 개를 연속해서 투하하면 연속 폭발로 더 깊이 뚫고 들어가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다.


노스롭 그루만이 생산한 B2 장거리 폭격기는 18톤(1만8000㎏) 무게의 폭탄을 장착할 수 있고 급유없이 1만1000㎞를 비행한다.

미 공군은 총중량 27.2톤인 2개의 GBU-57 A/B 탑재 시험에 성공하기도 했다.


이란 포르도 핵 시설. EPA 연합
포르도 핵시설은 테헤란 남서쪽 95㎞ 지점에 있는 곰(Qom) 근처 산속에 건설돼 2009년부터 가동에 들어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