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팩토리 팝콘 ◆
정유·석유화학 업황 부진이 길어지면서 그 여파가 채용 시장에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채용 공고가 3년째 줄고 있는데 올해 2분기에는 사상 최대 감소폭을 기록할 정도다.
20일 채용 플랫폼
사람인이 '주유, 정유, 석유화학, 에너지'로 분류된 업종의 채용 데이터를 집계한 결과 올해 2분기 채용 공고 인원이 전년 동기 대비 35.3% 급감했다.
역대 최대 감소율이다.
지난해 2분기(-16.2%)와 비교해도 감소율이 두 배 이상 커졌다.
실제 현장에서는 신규 채용 중도 취소라는 이례적 사례도 발생했다.
S-OIL은 최근 대졸 신입 채용을 진행 도중 갑작스럽게 중단했다.
상당히 이례적인 일인데 기업 내부의 비용 부담과 인력 운영 불확실성이 그만큼 심화됐다는 방증이다.
업계에서는 정유·석유화학 업종의 수익성 악화와 설비 가동률 저하, 신규 투자 축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본다.
특히 중국발 공급과잉과 저가 공세, 글로벌 수요 둔화로 인해 구조조정 압력까지 받고 있다.
일부 기업은 신입 채용은커녕 희망퇴직, 전환배치, 인력 감축에 나서며 구조조정 수순에 들어선 분위기다.
인공지능(AI) 도입과 공정 자동화도 채용 감소의 또 다른 배경으로 지목된다.
업황 부진으로 인건비 부담이 커지면서 기업들이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AI 기반 품질 검사, 공정 자동화를 더욱 확대하는 추세다.
실제로
LG화학,
한화솔루션,
롯데케미칼 등은 AI 기반 품질 검사, 공정 자동화 시스템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
[한재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