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국토부-교통안전공단 MOU 체결
최대 40만원 절약 기대...내년 서비스 개시

현대차그룹이 국토교통부·한국교통안전공단과 손잡고 전자식 운행 기록 장치(DGT) 개발에 나선다.

서비스가 상용화되면 트럭 등 상용차 운전자들의 편의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19일 현대차·기아는 3개 기관이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남양연구소에서 ‘커넥티드 DTG 개발 및 보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DTG는 자동차의 속도·주행거리·GPS 신호 등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 기록하는 장치다.


교통안전법은 버스, 화물차, 어린이 통학버스 등의 운송 사업자 차량에 DTG를 의무적으로 장착해 운행기록을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제출된 DTG 운행 기록을 분석해 운전자의 위험운전 행동을 개선하고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활동에 활용한다.


지금까지는 운송 사업자가 운행기록을 직접 DTG에서 USB로 옮겨 제출하거나 별도 제출 서비스를 유료로 이용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따랐다.


특히 작년 10월부터는 DTG 운행 기록 제출 의무 대상이 노선버스에서 적재량 25t 이상 대형화물차나 총 중량 10t 이상 특수차로 확대돼 더 편리하게 운행 기록을 제출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성이 커졌다.


이번 MOU를 통해 3개 기관은 별도의 장치나 데이터 추출 과정 없이 커넥티드 카 서비스만으로 운행기록의 저장·분석 및 제출을 자동화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기아는 각각 블루링크, 기아 커넥트 등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제공 중인데 이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ECU(전자제어장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행기록을 생성해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운행기록분석시스템으로 매일 자동 제출하는 것이다.


해당 서비스가 개시되면 현대차·기아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 가입된 차량은 최대 40만원 가량의 비용을 들여 실물 DTG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현대차·기아는 올해 커넥티드 DTG 개발을 마치고 내년 출시될 신규 상용차종부터 해당 서비스를 적용할 계획이다.


박상용 현대차·기아 상용LCM 담당 부사장은 “모빌리티 서비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는 민·관 데이터 공유 및 기술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교류를 통해 상용차 고객의 편의를 극대화하기 위한 차량 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개발하고, 고객 안전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