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만원 푼다는데”...지원금에 웃는 소상공인, 아쉬운 대형마트

당정 35조 규모 추경편성 합의
소상공인 매장서만 사용됐던
지역화폐 중심 지급 방안 유력

백화점∙대형마트 등서 볼멘소리
“일부 업종에 집중될수도” 지적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한 시민이 농산물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정부가 1인당 최대 50만원 규모의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하면서 소비 진작 효과가 기대되는 가운데 유통업계에선 엇갈린 반응이 나온다.


전통시장, 소상공인 업계는 소비자 유입에 따른 수혜를 기대하는 분위기지만, 대형마트와 일부 프랜차이즈 등에선 사용이 제한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부와 여당이 ‘보편+차등’ 혼합형 민생회복지원금을 담은 35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 합의했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되지만, 소득 수준에 따라 1인당 최소 15만원에서 최대 50만원까지 지원금 지급에 차등을 둔다.


민생회복지원금에 대한 세부 논의는 진행 중에 있으나, 앞서 코로나19 시기 긴급재난지원금과 유사한 방식으로 일부 현금 지원 대상을 제외하고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을 중심으로 지급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화폐의 경우 음식점, 전통시장, 동네 슈퍼 등 소상공인 업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반대로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이커머스, 대형 프랜차이즈 등에서는 사용이 제한됐다.

외식 프랜차이즈나 편의점 등의 경우 직영점이 아닌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했다.

가맹점이더라도 매출액 30억원 이하 사업장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이번에 지급될 민생회복지원금의 사용처가 긴급재난지원금과 유사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 보는 시민들. [사진 = 연합뉴스]
외식업계와 편의점 업계는 대체로 긍정적인 분위기다.

특히 프랜차이즈 가맹점 중 소형 사업장의 경우 수혜가 기대되기 때문에 기대하는 반응이 나온다.


한 프랜차이즈 업체 관계자는 “물가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지역화폐로 간단한 식음료나 생활용품을 구매할 수 있어 점포 매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백화점과 대형마트, 일부 직영 프랜차이즈 매장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사용처 제한으로 인해 지원금 소비가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지원금 효과가 일부 업종에만 집중되면서 유통업계 내에서도 형평성 논란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는 조만간 민생회복지원금의 구체적인 지급 시기와 사용처 기준 등을 확정할 방침이다.

지급 규모나 방식, 사용처에 따라 소비 분산 혹은 집중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소비자 혼선 방지와 실효성 있는 설계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