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급 원유’
국산 우유에는 이 같은 문구가 써 있는 경우가 많다.

한우에는 투플러스(1++)부터 3등급까지, 달걀에는 원플러스(1+)부터 3등급까지 표시되는 것과 다르게 우유에는 왜 ‘1등급’만 있을까. 그 이유는 단순하다.

소비자가 등급을 따져 고를 필요 없이, 오직 1등급 원유만 유통되도록 제도적으로 설계된 구조 때문이다.


국산 우유는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공동 운영하는 ‘원유 위생등급제도’에 따라 평가된다.

유업계에 따르면 국산 원유 위생등급은 착유 환경과 저장 설비의 위생 상태를 나타내는 ‘세균수’, 젖소의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체세포수’ 등 두 지표를 기준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지표를 바탕으로 국산 신선우유는 1등급 원유만 사용하고 있으며, 낮은 등급 우유는 탈지분유 등 가공용 원료로 활용된다.

시판 우유는 철저한 검증을 통과한 안전 인증 식품인 셈이다.


국산 우유의 품질은 수치로도 입증된다.

지난해 상반기 농림축산검역본부 검사 결과에 따르면, 세균수 1등급 원유 비율은 99%, 체세포수 1등급 비율은 71%로, 2022년(67%), 2023년(71%)에 이어 꾸준히 상승 중이다.


남양유업 등 국내 주요 유업체는 세계 안전 기준을 기반으로 우유 생산과정을 관리한다.

식약처의 해썹(HACCP, 식품안전관리인증), 국제식품안전경영시스템 FSSC 22000,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PMO(Pasteurized Milk Ordinance) 등을 도입해 원유 수급부터 생산, 유통까지 과학적이고 정밀한 품질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우유는 맛 혹은 색상으로 신선도를 판단하기 어려운 식품이다.

따라서 1등급 기준을 통과한 원유만 유통되는 시스템 자체가 소비자에게 신뢰를 제공한다.

국내에 2등급 이하 원유는 시유로 유통되지 않기 때문에 ‘2등급 우유’라는 제품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고를 수 없는 것이 아니라 고를 필요 없게 설계된 식품이 바로 국산 우유라는 의미다.


유업계 관계자는 “국산 우유는 매우 신뢰할 수 있는 식품으로, 소비자가 믿고 마실 수 있도록 관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