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벨리온, 스탠다드에너지와 AI 데이터센터 특화 전력모델 공동개발

AI(인공지능)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이 에너지저장장치(ESS) 전문 스타트업 스탠다드에너지와 협업해 AI 데이터센터 특화 에너지 솔루션을 공동개발한다.


18일 리벨리온은 전날 스탠다드에너지와 이 같은 취지의 전략적 협약를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양사 협업은 글로벌 AI 인프라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작됐다.


양사는 고효율·저전력 AI 반도체와 바나듐 이온 배터리(Vanadium Ion Battery) 기반 ESS 를 결합해 AI 데이터센터용 차세대 전력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다.

VIB 는 발화 위험이 없고 고출력 운영이 가능해 AI 인프라에 최적화된 기술이다.

그간 양사는 리벨리온의 ‘아톰’ 칩이 탑재된 NPU AI 서버랙과 스탠다드에너지의 VIB ESS 를 전력망과 연동한 시스템을 구성하여 기술과 안정성, 안전성을 검증해왔다.


이번 전략적 협약에 따라 양 사는 리벨리온의 AI 추론에 최적화된 저전력 반도체 기술과 스탠다드에너지의 화재안전성, 고출력, 장수명 장점을 갖춘 VIB ESS 기술을 결합하는 새로운 AI 전력 인프라 솔루션을 공동으로 개발해 나가기로 했다.


리벨리온 관계자는 “양사가 준비 중인 AI 전력 인프라 솔루션이 보급될 경우 글로벌 AI 산업의 화두인 저전력 고효율 기술을 우리나라가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양사는 이를 위해 양사의 기술이 결합된 AI 전력 인프라 솔루션의 국내외 실증 및 전력 시스템 표준 마련도 함께 할 계획이다.

아울러 공동 개발한 AI 전력 인프라 솔루션의 공동 브랜드 런칭 및 사업화를추진한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글로벌 AI 전력 인프라 업계에서 가장 주목하는 과제는 전력 효율성”이라며 “리벨리온은 GPU 가 안고 있는 고질적인 전력 소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PU 를 개발해왔고, 이번 협력은 AI 반도체와 에너지 인프라에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국가 AI 전력 인프라 경쟁력 강화는 소버린 AI 의 핵심 과제인만큼, 스탠다드에너지와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AI 데이터센터 전력 모델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부기 스탠다드에너지 대표는 “AI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AI 시대가 본격화하지 않는 것은 에너지 절약이 필요한 기후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AI 산업에 충분하고 안정적인 친환경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이번 협력은 에너지 절감을 깊이 연구해온 우리나라 스타트업 간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AI 산업의 근본적인 문제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의미를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