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다음은 K이너뷰티” 외국인 관광객, 올영서 유산균·비타민 쓸어담았다

이너뷰티 외국인 매출 55% 증가
여성용품·치아미백제 등도 인기

서울시 성동구 ‘올리브영N 성수’ 매장의 ‘웰니스에딧’관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쇼핑하고 있다.

[사진=CJ올리브영]

올리브영을 찾는 방한 외국인 고객의 장바구니에 담기는 상품들이 다양해지고 있다.


기존에는 선크림, 세럼, 마스크팩 같은 ‘K뷰티’ 상품 위주였다면, 최근 들어서는 올리브영이 큐레이션한 ‘K웰니스’ 상품으로도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18일 CJ올리브영은 올해 1~5월 국내 오프라인 외국인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웰니스(Wellness) 브랜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0%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건강기능식품부터 이너뷰티(Inner Beauty), W케어, 덴탈케어 등 카테고리의 다양한 K웰니스 브랜드가 인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방한 외국인 고객의 이너뷰티 카테고리 매출이 올 들어 55% 늘었다.


‘푸드올로지’의 콜레올로지 컷팅젤리와 ’비비랩’ 석류콜라겐, ‘락토핏’ 슬림 유산균 등 일부 상품은 방한 외국인 고객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0% 안팎 급증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같은 기간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도 외국인 매출이 지난해보다 29% 증가했다.


샷 같은 새로운 제형의 비타민과 구매하기 부담 없는 가격대의 소용량 상품, 캐릭터 컬래버 등 올리브영에서 구매할 수 있는 한정 기획 상품이 인기 요인으로 풀이된다.


특히 내국인 고객 사이에서 먼저 인기를 끈 △‘오쏘몰’ 이뮨 멀티비타민 △’고려은단’ 비타민C 등이 외국인에게도 인기다.


대표 건기식인 ‘정관장’은 히트 상품인 에브리타임을 배, 한라봉, 베리 등 과일맛으로 출시했고, ‘마그랩’은 주요 제품을 천하장사 캐릭터와 컬래버한 상품으로 기획해 올리브영에서 선보였다.


W케어 카테고리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66% 늘었다.

K뷰티에 관심이 많은 외국인 고객들이 제품력을 갖춘 국내 W케어 브랜드도 함께 구매하는 분위기다.


이 때문에 올리브영은 질 유산균, 이노시톨 등 건강기능식품으로 W케어 라인업을 확장하며 우먼 웰니스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다.

△’아로마티카’ 여성청결제 △’인클리어’ 질세정기 등이 외국인 고객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다.


덴탈케어 상품군 중에서는 입냄새를 관리해주는 구강 스프레이와 치아 미백 기능 상품이 등이 인기다.


△’가그린’ 후레쉬브레스 민트(구강 스프레이) △’뷰센’ 치아미백제 △’유시몰’ 화이트닝 부스터&패치 등이 외국인 고객의 장바구니에 자주 담겼다.


올리브영은 뷰티와 연계성이 높은 건강기능식품, 이너뷰티, W케어, 덴탈케어 카테고리를 등을 웰니스 상품군으로 보고, 새로운 국내 중소 브랜드와 신상품을 꾸준히 발굴하고 있다.


2022년에는 여성의 생애주기와 연계된 위생용품 및 위생속옷 등을 포괄하는 W케어를 카테고리화했고, 2023년부터는 이너뷰티를 강화하며 K웰니스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지난해 11월 문을 연 이후 외국인 매출 비중이 80%에 육박하는 ‘올리브영N 성수’ 매장의 경우, 한 개 층이 웰니스로 구성돼 있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글로벌 K뷰티 열풍이 K웰니스로 확산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국내 중소 웰니스 브랜드와 지속 협업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