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차게 이어지던 '먹거리 가격' 인상 러시가 새 정부 출범 후 일시 중단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16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이달 편의점 4사는 납품 제조사들로부터 '다음달 가격 인상 공문'을 단 한 통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올 들어 처음이라는 설명이다.
편의점 상품의 가격 인상은 매달 중순까지 제조사가 편의점에 관련 공문을 보내면서 이뤄진다.
원·부자재 가격, 물류비, 인건비 인상 등을 이유로 제조사가 출고가를 올리면, 편의점은 그에 따른 적정 마진율을 감안해 제조사와 협의한 후 다음달 판매가를 설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달 들어 편의점 4사 어디에도 오는 7월부터 출고가를 올리겠다는 제조사의 가격 인상 계획 공문이 접수되지 않은 것이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아직 공문이 뒤늦게 접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남은 일정을 고려하면 7월 가격 인상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제조사의 가격 인상 공문 발송은 제도적으로 정해진 기한은 없다.
과거에는 제조사별로 다른 시기에 공문을 접수했으며, 판매 가격 인상도 다음달 1일, 10일 등 다르게 적용됐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매달 1일 일괄 인상 적용'이 업계 표준으로 자리 잡았고, 가격 인상 공문은 전달 중순까지 보내는 관행이 정착됐다.
업계에서는 새 정부 출범 이후 '가격 인상 1호'로 찍히지 않기 위해 식품사들이 눈치싸움에 들어갔다고 보고 있다.
[박홍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