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회 종이의날 기념식
최현수
한국제지연합회 회장이 “적극적인 수출 확대로 ‘K-종이’ 시대를 열어야 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13일 최 회장은 서울 중구 소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9회 종이의날 기념식에서 “천년의 지혜가 담긴 한지의 품격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K컬처의 새로운 주역이 될 ‘K종이’로 승화시켜야 한다”고 했다.
종이의날은 매년 6월 16일로, 기계식 종이를 최초 양산한 1902년 6월 16일을 기념해 지정됐다.
제지 업계의 실천 과제로 최 회장은 △수요 구조 변화에 대한 기민한 대응 △수출 확대 △친환경 산업으로서의 정체성 확고화 △혁신과 경쟁 우위를 제시했다.
최 회장은 “디지털화로 인해 일부 종이의 수요는 줄었지만 친환경 포장재와 고기능성 산업용지, 위생용품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며 “시장의 변화를 정확히 읽고 새로운 수요에 부응하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어떤 환경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산업의 펀더멘털을 다져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친환경 신소재, 고부가가치 기능성 특수지, 스마트 패키징 등 미래 시장을 선도할 기술 개발에 과감히 투자해야 한다”며 “제지산업을 전통 산업의 틀을 넘어선 첨단 신소재 산업으로 도약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종이의날 기념식은
한국제지연합회를 비롯해 서울경인지류도매업협동조합, 한국골판지포장산업협동조합, 한국박스산업협동조합,
한국제지공업협동조합,
한국제지원료재생업협동조합, 한국지대공업협동조합, 한국펄프종이공학회 등 8개 전후방 산업 단체가 주최했다.
학계 전문가와 정부 관계자 등 총 100여명이 참석했다.
 |
최현수 한국제지연합회 회장(왼쪽에서 여섯번째)을 비롯해 제지기업 대표들이 종이의날 기념식을 맞아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한국제지연합회 |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