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중공업
사무·생산직 대상
‘쿨-비즈’ 16일 시행
업무땐 근무복 착용
기업 문화가 남성적이고 보수적인
HD현대중공업이 창사 53년 만에 반바지 차림의 출퇴근을 허용했다.
HD현대중공업은 반바지나 샌들처럼 자유로운 복장의 출퇴근을 허용하는 ‘쿨-비즈’ 제도를 오는 16일부터 9월 12일까지 시행한다고 12일 밝혔다.
반바지 차림의 출퇴근을 허용하는 것은 1972년 창사 이래 처음이다.
제도 시행에 따라 사무직뿐 아니라 생산직(기술직), 협력사와 선주사 관계자는 반바지와 뒤꿈치 고정형 샌들 차림으로 출퇴근할 수 있다.
물론 업무 중에는 근무복이나 작업복을 입어야 한다.
HD현대중공업은 대형 중장비를 다루고 안전사고 위험이 큰 작업이 많아 사내 분위기가 다른 업종보다 엄격했다는 점에서 이번 ‘쿨-비즈’ 제도 시행이 눈에 띈다.
출퇴근 복장 자율화는 대기업 사무직을 중심으로 이미 여러 곳에서 시행되고 있다.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근무 형태가 많이 바뀌었고 ‘MZ 세대’ 회사원이 늘어나는 영향을 받아 복장도 훨씬 유연해졌다.
현대차 그룹도 이미 출퇴근 복장으로 ‘비즈니스 캐쥬얼’을 규정해 운영하고 있다.
포스코는 포항과 광양 사업장에서 지난해부터 반바지·샌들 차림의 출퇴근을 시행 중이다.
복장 자율화의 큰 원칙은 ‘
TPO(시간·장소·상황)에 맞게 스스로 결정’이다.
HD현대중공업이나 포스코같이 작업복으로 갈아입는 규정이 있는 회사들도 사무직이나 연구직에 대해서는 훨씬 유연하다.
자율 복장제를 시행 중인 한 업체 관계자는 “연구소 직원들은 라운드 티셔츠도 많이 입는다”면서 “생산직 직원이 연구소에 업무하러 갔다가 이런 분위기를 접하고 더 편하게 입고 다니면 좋겠다는 의견을 많이 낸다”고 말했다.
자율 복장 출퇴근제도를 시행 중인 대기업 직원은 “작년 장마철에 반바지에 샌들 신고 회사 다닐 때가 복장 자율화의 장점을 가장 크게 실감했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