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콘퍼런스 셈텍 2025
전세계 300명 친환경 기술 논의
한국 2050년 53% 감축 목표
전문가 “현재 기준으론 어려워”
대체연료·원료 활용폭 넓히고
친환경 시멘트 기준 재정립을
 |
12일 국제 시멘트 컨퍼런스 셈텍 아시아 2025에 참가한 세계 각국 시멘트 업계 관계자들이 충북 단양 한일시멘트 공장을 방문해 친환경 설비 운영 실태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제공=한일시멘트] |
시멘트업계의 ‘올림픽’으로 불리는 국제 시멘트 콘퍼런스에서 한국 시멘트업계의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산업표준(KS) 기준 제·개정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내 시멘트업계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53%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친환경 기술개발에 나서고 있는데, 이를 정착시키려면 KS 기준 개정과 함께 업계의 연구개발(R&D) 활동에 대한 정부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영국에 본부를 둔 글로벌 시멘트 산업 전문기관 셈넷(Cemnet)은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서울과 충북 단양에서 ‘2025 셈텍 아시아(Cemtech Asia)’를 개최했다.
한국에서 셈텍이 개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멘트 산업의 탈탄소화’를 주제로 한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 시멘트 전문가 300여 명이 참석해 25건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메인 행사인 토론회에서는 토머스 암스트롱 셈넷 회장, 장 미셸 레이 삼표그룹 전무, 피터 호디노트 전 유럽시멘트협회장과 국내 전문가들이 참여해 원료·연료 부문 탄소 포집·저장(C
CS) 기술에 대해 논의했다.
토론회에서 김진만 공주대 그린스마트건축공학과 교수는 “한국의 KS 기준이 친환경 시멘트 기술개발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멘트 원료로 다양한 산업 부산물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KS, 시방서, 건설공사 표준 기준 등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며 “시멘트 원료인 클링커 비중을 낮추는 방향으로 가야 하는데, 한국은 이와 관련한 산업표준이 없기 때문에 하루빨리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클링커는 석회석을 점토, 실리카, 철 원료 등과 함께 1450~2000도 고온으로 구워(소성)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탄소가 많이 배출된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시멘트 원료에서 클링커 비중을 낮추고, 굽지 않는 석회석으로 대체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클링커 비중이 낮은 시멘트로 콘크리트 작업을 하면 타설 강도가 낮아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KS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보수적으로 만들졌기 때문에 현재 기술로 생산되는 친환경 시멘트는 기준에 미달할 수 있다”며 “품질에 대한 확실한 데이터가 축적돼 있는 만큼 친환경 시멘트 품질 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호디노트 전 회장은 “유럽은 전반적으로 탄소 배출 한계만 규정하고 있는 데 반해 한국은 지나치게 세세한 부분까지 규제하고 있다”며 “한국 시멘트업체가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맞추려면 이 같은 기준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R&D 비용에 대한 부담이 크다”고 지적했다.
암스토롱 회장은 “한국 시멘트 산업은 대체연료 분야에서 기술력을 키워왔기 때문에 다른 나라보다 탄소 배출량 감축을 더 잘할 수 있다”며 “기술개발과 설비 투자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행사 참석자들은 12일 충북 단양의
한일시멘트 공장을 방문해 친환경 설비 운영 상황을 확인했다.
한일시멘트는 시멘트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에코발전 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순환자원을 연료로 사용할 때 완전 연소를 위한 ‘파이로로터’ 설비도 갖췄다.
전근식 한국시멘트협회장은 “미래 세대에게 건강한 지구를 물려주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발걸음을 멈출 수 없다”며 “그것이 지속가능한 시멘트 산업 발전으로 가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