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서신 교환에 열려 있는 입장이라고 백악관이 11일(현지시간) 밝혔다.

2018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첫 미·북 정상회담 당시와 같은 관계로의 발전을 원한다는 의미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냈지만 북한이 수령을 거부했다는 일부 매체 보도와 관련해 "대통령은 김정은과의 서신 교환에 여전히 수용적(receptive)"이라며 "그는 첫 임기 때 싱가포르에서 이뤄진 진전을 (재차) 보길 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정한 서신 교환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답하도록 남겨두겠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뉴스는 이에 앞서 익명의 고위급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뉴욕의 북한 외교관들이 트럼프 대통령이 미·북 대화 채널 복구를 위해 김 위원장에게 보낸 친서 수령을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레빗 대변인은 NK뉴스 보도를 부인하지 않았고,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소통에 열린 입장임을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직접 대화를 바탕으로 한 '톱다운'식 대북 외교에 여전히 관심을 두고 있음을 시사하는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시절 김 위원장과 세 차례 만났다.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처음 대면했고,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정상회담에서 두 번째로 만났다.

그리고 같은 해 6월 문재인 당시 대통령과 판문점에서 만난 것이 마지막이었다.


이후 미국과 북한의 접촉은 사실상 중단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김 위원장을 자주 언급하며 친분을 과시했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