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11일(현지시간) 올해 여름에 발표할 미국의 새 국방전략(NDS)에 중국 견제를 위한 인도·태평양 중시 기조와 이를 위한 동맹국의 안보 부담 확대 요소가 담길 것이라고 밝혔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워싱턴DC 미 연방의회에서 열린 상원 세출위원회 국방소위 청문회에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추격해오는 위협'(중국을 지칭)에 대한 대응과 동맹·파트너와의 안보 부담 공유에 초점을 맞춘 임시 국방전략을 취임 이후 수립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임시 국방전략에 대해 "그들(동맹국과 파트너 국가들)이 (국방 투자를) 강화함으로써 우리(미국)는 집중해야 할 영역에 집중하도록 하는 구상"이라고 강조했다.
헤그세스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북한 방어를 위한 한국의 역할 확대 등을 담은 임시 국방전략 지침을 미 국방부가 마련했다는 미국 언론 보도를 사실로 확인한 것이다.
또 이것이 올해 여름에 내놓을 국방전략에 반영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앞서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 3월 미 국방부의 '임시 국방전략 지침'이 중국의 대만 침공 대비와 미 본토 방어를 최우선 과제로 삼으며, 북한을 비롯한 다른 위협 요인에 대한 대응은 동맹국들에 대부분 맡기는 내용을 담았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이 영국·호주와 체결한 안보동맹 '오커스(AUKUS)'에 대한 재검토에 착수했다는 보도가 나와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미국 국방 당국자는 "우리는 전임 행정부의 오커스 구상이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의제와 부합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오커스를 재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 터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