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약 스프레이 뿌렸는데…20대 여성 ‘턱수염 부작용’ 어쩌나

탈모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미녹시딜(Minoxidil)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다모증이 발생한 여성의 사례가 보고됐다.

[사진 출처 = 미국 사례 보고서 저널]

한 여성이 탈모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미녹시딜(Minoxidil)을 사용했다 부작용으로 인해 얼굴과 몸이 털로 뒤덮여 화제다.


9일(현지시간) 미국 사례 보고서 저널(American Journal of Case Reports)에 따르면 프랑스 디종대학병원은 ‘미녹시딜로 인한 과다모증 : 두피 폐쇄로 인한 전신 흡수 사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게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8세 여성 A씨는 안드로겐성 탈모와 견인성 탈모를 치료하기 위해 하루 두 차례 미녹시딜 스프레이를 사용했다.

이와 함께 혈소판 풍부 혈장(PRP) 및 발광다이오드(LED) 치료를 병행했다.


A씨는 치료 2개월 만에 탈모 증상이 개선됐지만, 동시에 얼굴과 팔·다리에 과도한 털이 자라는 다모증이 발생했다.

눈 주변이 붓는 등의 증상도 동반됐다.


조사 결과, A씨는 낮 동안 가발을, 밤에는 모발 보호를 위해 꽉 조이는 수면 모자를 장시간 착용해 두피가 장시간 밀폐된 상태였다.

의료진은 이러한 두피 폐쇄가 미녹시딜의 피부 흡수를 높여 전신으로 퍼지는 부작용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후 A씨는 미녹시딜 사용을 중단한 뒤 레이저 제모 5회와 안면 제모 시술(더마플래닝)을 받았고, 다모증 증상은 점차 개선됐다.


의료진에 따르면 미녹시딜은 세포막 내 ATP-민감성 칼륨 채널을 열어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모낭으로의 혈류를 증가시켜 모발 성장을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하지만 채널이 과도하게 활성화될 경우, 체내 전반에 영향을 미쳐 다모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실제로 앞선 연구에서도 1333명의 여성 참여자 중 4%가 미녹시딜 사용으로 인한 다모증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권장 용량(1㎖씩 하루 두 번)을 초과해 사용하거나 고농도로 사용할 경우, 가발이나 꽉 조이는 모자 착용 등으로 두피가 밀폐될 경우 약물 흡수가 증가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