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비”
2013년 이후 12년만 정책 변화

지난달 22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요그야카르타의 아흐마드 바이쿠니 바바사리 과학 교육 구역(KSE) 국립연구혁신청(BRIN)의 카르티니 원자로 연구 시설에서 기술자가 원자로 운전실을 검사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세계은행이 개발도상국의 원자력 발전 사업에 금융 지원에 나섰다.

지난 2013년 세계은행이 원전 사업 지원 중단을 결정한 이후 12년 만이다.


아제이 방가 세계은행 총재는 11일(현지시간)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 것은 우리가 직면한 가장 시급하고 복잡한 개발 과제 중 하나”라면서 세계은행 이사회의 이런 결정을 소개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방가 총재는 세계은행이 기존 원전의 수명 연장과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 가속화 노력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세계은행은 이번 원전 지원을 위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협력한다.

2023년 6월 취임한 방가 총재는 국가들이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해 개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세계은행이 모든 에너지원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에너지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세계은행에서 가장 많은 지분을 갖고 있는 미국도 세계은행의 이번 결정에 우호적인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지난 4월 “원전 기술이 많은 신흥 시장의 에너지 공급을 혁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산업에서 원활한 전력 공급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은 그 해결책은 원전에서 찾고 있다.

또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오픈AI 등 빅테크 기업들도 원자력 발전에 앞다퉈 투자하고 있다.


다만 방가 총재는 이사회가 원유·가스 사업 지원의 재개 여부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직원들에게 밝혔다.

원유와 가스의 탐사·시추 사업 지원은 2019년부터 중단됐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