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과의 긴장 분위기 심상치않다”…美, 이라크 주재 대사관 인력 부분 철수 검토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이라크 주재 미 대사관 인력의 대피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 Reuter]

중동 지역 내 안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정부가 주 이라크 미국 대사관의 일부 인력을 대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1일(현지 시각)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백악관 공보담당자 애니 켈리가 “국무부는 정기적으로 해외에서 근무하는 미국 인력을 검토하며, 이 결정은 최근 검토 결과 내려진 것이다”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러한 조치를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미 당국자는 “국무부는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 주재 대사관의 질서 있는 철수를 계획 중”이라면서 “민간 수단을 통해 진행되나, 필요시 미군이 지원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말했다.


이라크 외무부 관료는 “중동 내 긴장 가능성과 잠재적 안보 우려”를 배경으로 이라크 주재 미 대사관 직원들의 부분 대피가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조치의 배경이 된 구체적인 안보 위험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지는 않으나, 미국과 이란 간 핵 협상에서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해 미국·이스라엘과 이란 및 친이란 무장세력 간 전면 충돌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것이 그 배경으로 추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핵 협상에서 진전이 없을 시 이란을 공격하겠다고 공표한 바 있으며, 현재까지도 우라늄 농축 정도를 두고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아지즈 나시르자데 이란 국방부 장관 역시 “핵 협상이 타결되지 않고 우리에게 분쟁이 강요된다면 상대방의 피해는 우리보다 훨씬 더 클 것이며, 미국은 이 지역을 떠나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라크에는 2500명의 미군 병력이 주둔하고 있음과 더불어 이라크 치안부대와 연계된 친(親)이란 무장단체도 활동 중이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은 이라크 미 대사관뿐 아니라 중동 곳곳에 주둔한 미군 가족의 자진 대피를 승인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