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백악관 “트럼프, 김정은과의 서신교환에 열려있다”…북미대화 재시동 거나

“트럼프 보내려 한 친서 北 수령거부”
NK뉴스 보도내용에 백악관 부인안해
레빗 대변인 “첫 임기때 진전 보기 원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11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답변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서신 교환에 열려있는 입장이라고 백악관이 11일(현지시간) 밝혔다.

2018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첫 북미정상회담 당시와 같은 관계로의 발전을 원한다는 설명이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냈지만 북한이 수령을 거부했다는 일부 매체 보도와 관련해 “대통령은 김정은과의 서신교환에 여전히 수용적(receptive)”이라며 “그는 첫 임기 때 싱가포르에서 이뤄진 진전을 (재차) 보길 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이어 “특정한 서신교환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답하도록 남겨 두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뉴스는 익명의 고위급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뉴욕의 북한 외교관들이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대화채널 복구를 위해 김 위원장에 보낸 친서의 수령을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친서를 보내려 한 것은 집권 1기 당시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진행됐던 대화를 다시 시작하려는 의도였다는 게 이 매체의 설명이다.


레빗 대변인의 답변은 NK뉴스의 보도를 부인하지 않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소통에 열린 입장임을 재확인 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직접 대화를 바탕으로 한 ‘톱다운’식 대북 외교에 여전히 관심을 두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시절 김 위원장과 3차례 만났다.

두 정상은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에서 첫 대면했고,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의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두 번째로 만났다.

같은 해 6월 문재인 당시 대통령과 판문점에서 만난 것이 마지막 만남이었다.


미국은 북한의 전면 비핵화 원칙을 고수했지만, 북한은 일부 핵시설을 동결하는 대가로 제재 해제를 요구하면서 협상은 결렬됐다.

이후 현재까지 미국과 북한은 사실상 접촉이 끊긴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7월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많은 핵무기를 갖고 있는 누군가와 잘 지내는 것은 좋은 일”이라며 “재집권하면 나는 그(김정은)과 잘 지낼 것”이라고 말했고, 취임 당일인 지난 1월 20일에도 “나는 김정은과 매우 우호적이었고, 그는 나를 좋아했다.

나는 그를 좋아했고 매우 잘 지냈다”고 밝히기도 했다.


지난 3월 31일에는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정은과 접촉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우리는 소통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앞선 발언과 이날 백악관이 사실상 확인해준 NK뉴스의 보도를 종합하면 먼저 손을 내민 쪽은 트럼프 대통령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가자 전쟁 종식을 위한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가 난관에 부딪힌 상태에서 북미대화를 제안한 것은 그의 외교력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한 북한의 반응은 차갑다.

NK뉴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보내는 친서의 수령을 미국 내 북한 당국자들이 거부했다고 보도했는데, 이는 김 위원장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으로서는 러시아에 병력을 파견하며 북러관계를 확고하게 다진 상태에서 북미대화로 얻을 것이 크지 않다고 판단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당장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에 응하지 않는다고 해서 앞으로도 그 기조가 지속될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이르다.

김 위원장은 러시아·중국 등과의 관계를 더 돈독하게 하며 핵무력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자신을 ‘대화 상대’로 인정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를 활용하려 할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도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