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가 '5년 내 글로벌 거래액 3조원 달성'이라는 청사진을 공개했다.

K패션 브랜드의 수출 플랫폼 역할을 전담하고 해외 현지 마케팅·물류까지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하반기 중국에서 첫 해외 매장을 여는 등 글로벌 오프라인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10일 무신사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글로벌 파트너스데이'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목표를 공개했다.


이날 박준모 무신사 대표(사진)는 "한국 드라마나 영화·음식 등 한국 문화를 표방할 수 있는 여러 산업이 해외에서 크게 활용되는 지금이 바로 K패션이 해외에 진출할 적기"라고 말했다.

그는 "K팝·K드라마 등 다른 산업과 달리 K패션은 아직 해외에서 눈에 띄는 성공 사례가 없다"며 "해외로 나가 성공하려면 함께하는 전략적 파트너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데, 무신사가 바로 그 전략적 파트너가 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무신사는 국내 브랜드가 무신사 글로벌 스토어에 입점하면 해외 시장 진출은 물론 필요한 마케팅이나 물류 등 제반 솔루션을 모두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판매자의 글로벌 물류 전 과정을 대행하는 '원스톱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좋은 상품만 준비하면 무신사가 알아서 팔아주겠다'는 것이다.


오는 8월부터는 국내와 글로벌 스토어 간 입점도 연동된다.

국내 무신사 스토어에 입점하면 자동으로 글로벌 스토어에도 진입해 큰 품을 들이지 않고 해외 시장의 문을 두드릴 수 있다.


무신사는 이 방식으로 2030년까지 한국을 제외하고 글로벌 거래액만 3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무신사의 지난해 연간 거래액이 4조5000억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사업의 상당 비중을 해외로 넓히겠다는 뜻이다.


무신사는 2022년 해외에 진출하기 위한 13개 전략 국가(일본 미국 호주 캐나다 홍콩 대만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필리핀)를 설정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이들을 넘어 중국 본토부터 유럽과 중동까지 영역을 확장한다.


글로벌 스토어는 2022년부터 거래액이 연평균 260% 증가하는 등 성장세가 거세다.

지난 4월 말 기준 2000여 개 브랜드가 입점해 있고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도 300만명을 웃돈다.

해외에서도 특히 일본 비중이 높다.


온라인과 시너지를 발휘할 오프라인 매장도 해외에 깃발을 꽂는다.

올해 하반기 중국 상하이 등에 매장 2~3곳을 개설한다.

내년에는 일본 오사카·나고야 등을 시작으로 싱가포르·태국·중동 등에서 온·오프라인을 가리지 않고 진출할 예정이다.

2030년까지는 미국 캐나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에 오프라인 매장도 낼 계획이다.

여러 K브랜드를 판매하는 편집숍 형태인 '무신사 스토어'와 자체 브랜드 상품 매장인 '무신사 스탠다드' 2개 모델로 추진한다.

해외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면서 기업공개(IPO) 준비도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박 대표는 "조만간 주관사를 선정해 IPO 타이밍 등을 면밀히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홍주 기자 / 김금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