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법인, 10여년만에 1000억원 매출
올해 인니·태국 신공장 착공…영업망 확대

스맥스가 인도네시아에서 진행한 뷰티페어 현장 모습. <코스맥스>
최경 코스맥스 부회장이 10일 서울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2025 쇼피코리아 K뷰티 써밋’에서 강연하고 있다.

<코스맥스>

글로벌 화장품 연구개발생산(ODM)기업 코스맥스가 동남아시아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 쇼피와 손잡고 K뷰티 동남아 진출에 속도를 낸다.


스맥스는 10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2025 쇼피코리아 K뷰티 써밋’공식 협찬사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에는 최경 코스맥스 부회장이 연사로 나서 K뷰티 브랜드를 위한 동남아 현지화 전략을 발표했다.


최 부회장은 “동남아 소비자들은 화장품 구매에 있어 품질, 브랜드 신뢰도, 트렌디함을 중시한다”며 “신뢰할 수 있는 현지 파트너와 협업 및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것이 시장 진입과 확장을 위한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맥스는 지난 2012년 인도네시아 법인을 설립한 이후 13년간 동남아 지역 대표 화장품 ODM기업으로 성장해왔다.

스맥스 인도네시아는 자생식물을 원료로 만든 천연소재와 현지화 전략제품 등을 토대로 지난해 매출 1000억원을 돌파했다.


특히 인도네시아에서는 K뷰티 대표 제품인 쿠션파운데이션이 큰 성공을 거뒀다.

소비자 선호도에 맞춰 지속력을 높이고 색상을 세분화한 전략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2018년 설립한 태국 법인 역시 현지 시장에 특화한 소용량 파우치 화장품 등이 인기를 끌며 매년 두자릿수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설립 6년 만에 연간 기준 영업 흑자를 달성했다.


인도네시아와 태국 등 동남아 지역에서는 선케어 시장이 고속성장하며 지난해 매출이 각각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고온다습한 기후에 맞춰 백탁을 없애고, 끈적임 없는 젤타입 사용감을 확대한 제품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스맥스는 동남아 지역 화장품 시장이 앞으로도 고속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지속적인 재투자에 나서고 있다.

유로모니터는 인도네시아 뷰티앤 퍼스널케어 시장이 오는 2029년 약 200조 루피아 규모(17조1100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태국도 약 3500억 바트(약 13조5300억원)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최경 부회장은 “코스맥스는 현지생산을 통한 원활한 제품 공급은 물론 동남아 시장에 맞는 제형 개발과 코스맥스·쇼피가 보유한 현지 시장 데이터를 통해 현지 성공스토리를 만들 수 있게 전략적으로 서비스하겠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