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가덕도신공항, 착공 후 여건 변화때는 공기 연장 수용”

시공과정에서 지반 등 변화 있으면 공기 연장 가능
정부·부산시 참여하는 ‘합동 기술위원회’ 구성 제안

부산시가 정부에 가덕도신공항 착공 후 불가피한 여건 변화가 있다면 공기 연장도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부산시는 9일 새 정부 출범에 즈음한 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 신속 추진 입장문을 내고 이같이 밝혔다.

부산시는 “새 정부의 많은 공약 중 부산, 울산, 경남을 ‘트라이포트’ 전진 기지로 육성하고 가덕도신공항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는 약속에 큰 기대를 갖고 있다”며 “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은 그동안 입지 선정에서부터 특별법 제정, 기본계획 수립까지 모든 과정에서 초당적 협력으로 추진돼 왔고 이제야말로 실질적 착공으로 이어져야 할 결정적 전환점에 있다”고 말했다.


가덕도신공항 조감도 [연합뉴스]
이어 “입찰 과정에서 4차례 유찰됐고 현대건설의 부적합한 기본설계로 큰 충격을 줬지만, 새 정부가 차질 없는 사업 추진을 약속한 만큼 빠르게 정상화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부산시는 “당초 정부 입찰 조건인 공사 기한 84개월(7년)을 유지하는 것이 현재로서 가장 빠른 추진 방안”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다만 “착공 후 시공 과정에서 지반, 기후 변화 등 불가피한 여건 변화가 발생한다면 기술적으로 검토해 공기 연장도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가덕도 연대봉에서 바라본 가덕도 신공항 부지 [연합뉴스]
이를 위해 부산시는 “정부와 부산시,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이 참여하는 ‘합동 기술위원회’를 구성·운영해 공사 기간과 공법에 대해 유연한 대응을 해나가길 제안한다”며 “정부는 신속한 재발주를 통해 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이 불필요한 의혹과 정쟁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부산시는 “가덕도신공항 건설은 정부의 일관된 정책과제로 추진돼야 한다”며 “새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명시해 적기 착공과 개항에 전력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