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자동차 업체들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희토류가 사용되는 자동차 부품 생산을 중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의도와 반대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조시설을 미국으로 다시 가져오겠다며 무역전쟁을 시작했다.
WSJ에 따르면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등 미 대형 자동차 제조사와 부품 공급업체들은 희토류 소재 자석을 사용한 자동차용 전기모터를 중국 공장에서 생산하거나 미국에서 제조된 미완성 모터를 중국으로 보낸 뒤 희토류 자석을 부착해 수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 4월부터 희토류 7종에 대해 중국 밖으로 반출하려면 특별 수출허가를 받도록 했다.
내열 자석 생산에 쓰이는 희토류인 디스프로슘과 테르븀은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90% 이상을 공급한다.
이런 자석은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지만 반도체, 의료, 로봇, 풍력발전, 군사장비 등 다른 많은 분야에서도 필수적인 부품으로 쓰인다.
희토류 공급으로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은 미국 자동차 업체뿐만이 아니다.
유럽자동차부품업체협회(CLEPA)도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으로 현재 유럽 내 자동차 부품업체 공장 여러 곳이 가동을 중단했으며, 수출 제한이 해소되지 않으면 3~4주 안에 더 많은 업체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일본 완성차 업체 스즈키도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로 지난달 26일부터 일본에서 소형차 '스위프트' 생산을 중단했다.
일본 자동차 업체 중 희토류 규제로 생산을 멈춘 사실이 알려진 곳은 스즈키가 처음이다.
[신윤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