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車부품 ‘중국밖 생산’에 차질
‘제조시설 美 복귀’ 트럼프 의도와 반대현상
유럽·일본서도 일부 차종 생산 중단
 |
미 캘리포니아주 딜러 매장에 전시된 포드 차량. [AFP 연합뉴스] |
미국 자동차 업체들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희토류가 사용되는 자동차 부품생산을 중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이 같이 보도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의도와 반대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조시설을 미국으로 다시 가져오겠다며 중국과 무역전쟁을 시작했다.
WSJ에 따르면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등 미 대형 자동차 제조사와 부품 공급업체들은 희토류 소재 자석을 사용한 자동차용 전기모터를 중국 공장에서 생산하거나 미국에서 제조된 미완성 모터를 중국으로 보낸 뒤 희토류 자석을 부착해 수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 4월부터 희토류 7종에 대해 중국 밖으로 반출하려면 특별 수출 허가를 받도록 했다.
중국은 지난달 12일 제네바에서 미국과 서로 경쟁적으로 부과한 관세 대부분을 철회하거나 90일간 유예하기로 합의하고서도 희토류 수출 통제는 풀지 않았다.
내열 자석 생산에 쓰이는 희토류인 디스프로슘과 테르븀은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90% 이상을 공급한다.
이런 자석은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지만 반도체, 의료, 로봇, 풍력발전, 군사장비 등 다른 많은 분야에서도 필수적인 부품으로 쓰인다.
중국은 희토류 금수조치가 군사 목적으로 전용 가능한 ‘이중용도 물자’ 통제의 일환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이유로 희토류로 만든 내열 자석은 수출 통제 대상에 포함하면서도 내열 자석을 부품으로 활용한 완제품 전기모터는 통제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미 자동차 제조사들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를 우회하기 위해 중국 공장에서 전기모터를 생산하는 방안을 고민하는 이유다.
한 자동차 제조사 공급망 관리자는 WSJ에 “중국은 (희토류) 자석 수출을 허용하지 않겠지만, 모터 안에 포함된 자석은 수출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미완성 모터를 중국으로 보낸 뒤 희토류 자석을 추가해 수입하는 방안은 추가적인 비용 및 관세 부담을 야기하지만, 현 상황에서 생산 중단의 위험을 감수하는 것보다는 나은 선택지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앞서 미 자동차 업계는 중국이 희토류 내열 자석 수출을 통제하면서 라인 가동이 지연되거나 아예 중단될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놓은 바 있다.
희토류 공급으로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은 미국 자동차 업체뿐만이 아니다.
유럽자동차부품업체협회(CLEPA)도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으로 현재 유럽 내 자동차 부품업체 공장 여러 곳이 가동을 중단했으며 수출 제한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3∼4주 안에 더 많은 업체가 영향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일본 완성차 업체 스즈키도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로 지난달 26일부터 일본에서 소형차 ‘스위프트’ 생산을 중단했다.
일본 자동차 업체중 희토류 규제로 생산을 멈춘 사실이 알려진 곳은 스즈키가 처음이다.
NHK에 따르면 스즈키는 공식적으로 생산 중단 원인을 밝히지 않았으나, 거래 업체에는 희토류가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와 관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중국이 ‘관세 휴전’ 합의 조건을 위반했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중국은 미국이 오히려 인공지능(AI) 칩 수출 제한과 중국 유학생 비자 취소 등 차별적이고 제한적인 조치를 하고 있다고 반박한 바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