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연합뉴스]
애플과 삼성의 올해 스마트폰 출하량이 당초 예상보다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4일(현지시간)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올해 애플과 삼성의 스마트폰 출하량 성장 전망을 대폭 하향 조정했다.


당초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전년비 4.2%의 출하량 증가를 예측했지만 관세 불확실성으로 1.9% 증가로 하향 조정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월 세계 각국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대해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뒤 스마트폰과 일부 전자제품에 대해서는 며칠 후 예외로 지정했다.


하지만 이후 아이폰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스마트폰에 대해 최소 25%의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태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올해 아이폰의 출하량 성장률을 기존 4%에서 2.5%로 내렸고 삼성 스마트폰은 기존 1.7% 증가에서 성장 없는 정체로 하향했다.


이즈 리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부국장은 “애플과 삼성이 미국 시장에 대한 노출도가 크기 때문에 관세가 성장률 조정에 일부 영향을 줬다”며 “북미뿐 아니라 유럽과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수요가 약화한 점도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애플에 대해서는 아이폰16 시리즈의 인기와 신흥 시장에서 고가 모델에 대한 수요 증가로 전년대비 출하량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전반적인 전망 하향 속에서도 중국 화웨이의 경우 올해 출하량이 전년 대비 11%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올해 말까지 화웨이 주요 부품의 수급 병목 현상이 완화할 것으로 예상돼 화웨이가 중국 내 중저가 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수년간 중국 시장에서 부진하던 화웨이는 지난 2023년 8월 메이트60 시리즈 출시를 계기로 반등에 성공했다.

초고속 데이터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자체 반도체 개발이 스마트폰 판매 반등을 이끌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