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미동맹 철통…한미일 3자협력 심화할것”
백악관 “韓대선, 자유롭고 공정…中의 민주국가 개입 우려”
中, 시주석 축전 보내...美에 “중한 관계 이간질 마라” 발끈
印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더욱 확대 강화 기대”

미국 백악관. [연합뉴스 ]
미국, 일본, 인도, 중국 등 국제질서를 주도하는 세계 주요국들이 한국 이재명 대통령에게 축하의 뜻을 전하며 한국과의 관계 강화 의지를 표명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3일(현지시간) 새로 출범하는 이재명 정부와 한미일 3자 협력 등 안보, 경제 분야에서 협력 강화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은 이날 미국 정부를 대표해 발표한 공식 성명에서 “우리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한민국 14번째(14th) 대통령으로서의 당선을 축하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의 제21대 대통령이지만, 루비오 장관은 미국의 전통대로 인물 중심으로 카운트를 해서 ‘14번째 대통령’이라고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루비오 장관은 “미국과 한국은 우리의 상호방위조약, 공유 가치, 깊은 경제 관계에 기반을 둔 동맹에 대한 철통같은 약속을 공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또 오늘의 전략적 환경의 요구에 부응하고 새로운 경제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동맹을 현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역내 안보를 강화하고, 경제적 회복력을 향상하며, 우리가 공유하는 민주주의 원칙을 지키기 위해 한미일 3자 협력을 계속해서 심화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국무부 장관 명의 성명에서 협력 의지를 강조한 가운데 백악관은 언론에 보낸 익명 당국자 명의의 답변에서 민주주의 국가들에 대한 중국의 간섭과 영향력을 우려하고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백악관은 “한국에서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가 진행됐지만, 미국은 전 세계 민주주의 국가들에 대한 중국의 간섭과 영향력에 대해 여전히 우려를 표명하며 반대한다”고 밝혔다.


한국 대선 결과에 대한 입장 발표에서 백악관이 민주주의 국가에 대한 중국의 개입과 영향력에 대해 비판적 언급을 포함한 것은 매우 이례적으로 평가된다.


이를 두고 미국 정부가 이재명 정부 아래에서도 한미동맹을 굳건하게 유지할 것임을 분명히 하면서도 미국의 최대 경쟁국인 중국에 대한 ‘거리두기’를 간접적으로 요구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되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교도 연합뉴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도 이날 이재명 대통령 당선 관련 “한국 민주주의 결과로 한국 국민의 선택에 경의를 표한다”며 “취임을 축하한다”고 밝혔다.


이시바 총리는 이날 오전 총리 관저에서 취재진과 만나 올해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이라고 언급하고 “민간을 포함한 한일 교류를 더욱 활발히 해 나가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일 양국이 저출산·고령화, 인구의 수도권 집중, 미국과 동맹 관계를 포함한 외교·안보 정책 등 공통 과제가 많다면서 “수교 60주년을 계기로 이재명 대통령과 한일, 한미일 협력을 활발히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한일 정상회담은 조속히 하는 것이 좋다”며 이 대통령과 조기 회동에 의욕을 나타내기도 했다.


일본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 노다 요시히코 대표도 “한국의 성숙한 민주주의와 국민의 높은 정치 참여에 경의를 표한다” 며 “미래지향적 양국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밝혔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X캡처]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도 4일 엑스(X·옛 트위트)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대한민국 대통령 당선을 축하한다”며 “한-인도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더욱 확대하고 강화해 나가기위해 함께 협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신화 연합뉴스]
중국 시진핑 주석은 친히 당선 축하 전문을 보냈다.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축전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하면서 “중국과 한국은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동반자”라고 언급했다.


이어 시 주석은 한중 관계 발전이 “양국 인민의 복지를 증진했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평화·안정과 발전·번영에 긍정적 공헌을 했다”며 “나는 중한 관계 발전을 고도로 중시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현재 세계에는 100년만의 변화가 가속하는 가운데 국제·지역 형세의 불확실 요인이 늘어나고 있는데, 세계와 지역의 중요 국가로서 중국은 한국과 함께 수교의 초심을 지키고 선린우호의 방향을 굳게 하며 호혜 목표를 견지할 의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중국 외교부는 미국 백악관의 이재명 대통령 당선 축하와 관련해 “상황을 주목하고 있다”며 문제가 있다는 입장을 표명하기도 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일관되게 내정 불간섭 원칙을 고수하고 있고 어떠한 국가의 내정에도 간섭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간섭하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 측에 중국의 오래된 버릇을 수정하고 중·한 관계를 이간질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