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본시장의 만성적인 저평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경영 전략, 세제 개편, 제도 혁신 등 총체적 개혁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한국경영학회는 15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불확실성 시대의 기업의 밸류업 전략'이란 주제로 2025년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기업의 주가 저평가 해소를 위한 경영 전략, 세제 개편, 제도 혁신 방향에 대해 정부와 학계 전문가들이 다양한 해법을 제시했다.


기조연설을 맡은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일반주주의 이익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전방위적 제도 개선에 나설 계획"이라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해 상장 기업들이 주주가치를 존중하는 경영 문화를 확립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이를 위해 경영 투명성과 지배구조 개선, 공시제도 정비 등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강형구 한양대 금융공학부 교수는 "한국 기업들이 주식시장에서 낮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결국 이익을 얼마나 잘 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즉 자기자본이익률(ROE)이 낮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세제 분야에서는 상속세 개편이 핵심 과제로 지목됐다.

김태동 차의과학대 경영학부 교수는 "과도한 상속세는 기업 승계를 막고 경쟁력을 갉아먹는다"며 "상속세율 인하와 과세 방식 전환은 자본시장에 큰 변화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기업 대주주에 대한 할증 과세 폐지, 배우자·자녀 공제 확대 역시 밸류업을 위한 주요 정책이라고 꼽았다.


[추동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