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미·일 고위급 무역협상에 직접 참석하기로 했다.

아울러 협상 의제로 관세와 방위비, 무역 불균형을 적시했다.


한국도 다음주부터 미국과 협상을 본격화하는 가운데 통상·국방·조선업 협력 등에서 비슷한 의제를 공유하는 일본의 대미 협상이 중요한 참고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일본은 오늘 관세, 군사 지원 비용 그리고 '무역 공정성'을 협상하기 위해 (미국에) 온다"며 "나는 재무부·상무부 장관과 함께 회의에 참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본과 미국에 좋은(위대한!) 무언가가 나오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일본 측 관세 담당 각료인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은 당초 이날 미국에서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협상에 착수하기로 예정돼 있었다.


여기에 추가로 미국 측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협상장에 모습을 드러내기로 한 것이다.

그의 회의 참석 가능성은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던 사항이다.

관세를 지렛대로 무역 부문에서 성과를 빠르게 내야 한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조급함을 보여준다는 해석이 나온다.


미국의 협상 상대국인 일본은 이번 협상에서 자국이 미국의 최대 투자국이라는 점을 부각하며 관세가 양국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또 미국 측 요구 사항을 정확히 확인해 차기 협상을 위한 과제로 가져간다는 전략이다.


앞서 미국행을 위해 출국길에 오른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하네다공항에서 "무엇이 가장 국익에 도움이 되는지 따져 이를 지키는 협상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관세 부과를 철회하는 조건으로 무역적자 해소와 달러 강세 시정, 미국 국채 추가 매입, 방위비 인상 등을 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세 협상에 일본이 끌어들이고 싶어 하지 않는 것은 방위비 인상이다.

반면 미국은 관세와 방위비를 묶은 '패키지 딜'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


일본은 2022년 3대 안보 문서를 개정해 국내총생산(GDP)의 1% 수준이었던 방위 관련 예산을 최근 1.8%로 끌어올렸다.

미국은 방위 관련 예산을 GDP 대비 3%까지 올리고 주일미군 주둔 경비도 더 부담하라고 압박할 것으로 예측된다.


엔화 약세 시정도 중요한 부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러 차례 중국과 일본이 자국 통화 약세를 유도해왔다고 지적했다.


[도쿄 이승훈 특파원 / 서울 최현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