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 정근욱 KT스튜디오지니 대표이사, 신종수 KT 미디어전략본부장,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이 16일 오전 서울 강남구 안다즈호텔에서 미디어토크를 열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이가람 기자] |
KT가 위기에 처한 방송 환경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기 위해 미디어 서비스 전반에 인공지능(AI)를 적용한다.
콘텐츠 제작·유통 혁신과 플랫폼 이용 경험 강화를 통해 미디어 강자 지위를 공고히 하겠다는 목표다.
이에 따라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 신사업 역량을 끌어올리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방침이다.
16일 KT는 서울 강남구 안다즈 서울 강남 호텔에서 기자간담회 ‘KT그룹 미디어 토크’를 열고 ▲AI 플랫폼 ▲AI 콘텐츠 ▲사업 모델 혁신을 주축으로 하는 ‘KT 미디어 뉴 웨이’ 전략을 소개했다.
먼저 KT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지니TV에 미디어 AI 에이전트를 단계적으로 탑재한다.
지니TV 가입자는 대화형 대형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직관적인 콘텐츠 탐색 및 시청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드라마 신병에서 사단장 아들이 등장하는 부분부터 재생해 줘”라고 말하면 AI가 연결해 주는 방식이다.
그동안 AI 기반 음성 검색 결과는 만족도가 낮았다.
이에 KT는 챗GPT를 접목한 모델을 활용해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지게 하고 지니TV 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부 콘텐츠 검색을 가능하도록 AI 에이전트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또 AI 기술로 콘텐츠 제작 효율과 품질을 끌어올리기로 했다.
미디어 콘텐츠 인공지능전환(AX) 전문조직 AI 스튜디오 랩을 신설해 출자 심사, 기획, 제작·편집, 마케팅·유통 등 콘텐츠 사업 전 과정에 AI 기술을 적용하고 지식재산권(IP)을 가치를 성장시킬 예정이다.
콘텐츠 제작을 담당하는 KT스튜디오지니는 지니TV 오리지널 콘텐츠 유통 전략을 KT ENA 독점 공개에서 넷플릭스와 티빙, 웨이브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동시 공개 방식으로 전환한다.
기존의 폐쇄적 미디어 밸류체인이 개방적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TV·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채널인 FAST를 도입해 IPTV 비즈니스 모델을 정비해 유료방송 시장의 저성장 국면을 헤쳐 나가기로 했다.
숏폼 콘텐츠 시장 진출도 본격화한다.
AI 기반 숏폼 제작 인프라를 구축하고, 국내외 주요 플랫폼과 공동제작을 협의 중이다.
앞서 KT는 올해 11개 미디어 계열사의 목표 매출액을 5조원으로 설정했다.
AI 투자 규모가 증가하면서 목표치에 대한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KT는 예고했던 대로 오는 2025년까지 미디어 부문에 5000억원을 쏟아 부을 전망이다.
수치적 달성보다 경쟁력 강화에 힘을 싣겠다는 의미다.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은 “유료 방송 시장이 정체하고 글로벌 OTT를 중심으로 가치사슬이 재편 중인 상황이고 벤치마킹 모델조차 없지만 과감히 도전하는 것이 KT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며 “1400만 KT 미디어 서비스 고객이 AI 서비스를 TV로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성과를 독점하지 않고 공생이 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