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 부과로 미국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들이 연간 10억 달러(약 1조4천300억 원) 이상의 비용 부담을 추가로 떠안게 될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미국 3대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인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램리서치, KLA를 비롯한 업계 경영진은 지난주 미국 정부 당국자들과 관세로 인한 부담 문제를 논의했는데 대형 업체의 경우 기업당 연간 3억5천만 달러(약 5천억 원)의 추가 비용이 생기는 것으로 추산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소식통들을 인용해 현지시간 15일 보도했습니다.

온투 이노베이션과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업체들도 수천만 달러의 비용 상승이 있을 것으로 업계는 추산했습니다.

추가 비용은 주로 반도체 장비를 중국 등 해외 시장에 판매하지 못해 발생하는 매출 손실과 제조장비 부품의 대체 공급업체를 찾는 데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복잡한 관세 관련 정책을 준수하기 위해 추가 인력을 채용하는 것도 비용 상승 요인입니다.

미국 의원들과 정부 당국자들은 관세정책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반도체 업계 경영진,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관계자들과 비용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첨단 반도체 제조 장비의 중국 수출을 억제하기 위해 일련의 규제를 해왔기 때문에 업계는 이미 수십억 달러의 매출 손실을 본 것으로 추산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을 제외하고 각국에 대한 상호 관세를 유예했지만, 14일 반도체, 반도체 제조장비, 파생 제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업계의 추가 비용 추정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실제 부과되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조장비에는 여러 부품이 필요하고 관세율도 얼마가 될지 불분명해 정확한 계산은 어려운 상태입니다.


[ 이나연 기자 / naye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