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무역 전쟁이 고조되는 가운데 미국 국채의 장단기물 간 금리 격차가 크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지난 11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3.966%로 전주 대비 30.2bp 올랐습니다.
이에 비해 만기가 가장 긴 3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4.875%로 전주 대비 46.3bp 급등했습니다.
이는 1987년 4월 이후 최대 주간 상승 폭입니다.
이에 따라 2년물 대비 30년물 금리 격차가 90.9bp로 커졌습니다.
이 같은 격차는 2022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블룸버그는 설명했습니다.
또 2년물 대비 30년물 금리 격차가 9주 연속 확대됐는데 이는 자사가 집계를 시작한 1992년 이래 이번을 제외하고 단 한 차례만 있었던 흐름이라고 보도했습니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벤치마크인 10년물 금리도 4.492%로 전주 대비 49.2bp 급등했습니다.
이는 약 24년 만의 최대 주간 상승 폭입니다.
미국 의회가 연방정부 재정적자를 더욱 늘릴 감세를 논의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조치들을 내놓으면서 미 국채 수요가 근본적으로 약화할 것이라는 전망에 장기채 중심으로 투매 현상이 빚어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런 가운데 관세 조치로 미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연준이 금리인하를 단행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단기물 금리는 장기물보다 상대적으로 덜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다는 것입니다.
단기물에 비해 장기물 가격이 더 많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는 이른바 '스티프너 트레이드'(Steepener trade) 베팅 전략이 탄력을 받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 이나연 기자 / naye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