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년 맞은 <매경TV 핫플레이스>, 지역 범위 확장해 카드 데이터 분석



KB국민카드와 함께하는 <매경TV 핫플레이스>가 올해로 2년째를 맞이했습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KB국민카드 신용ㆍ체크카드 실사용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상권과 소비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2025년 새롭게 달라진 <매경TV 핫플레이스>와, 2024년 가장 주목받은 콘텐츠를 함께 소개합니다.

2025년 <매경TV 핫플레이스> 변화의 포인트는?

2025년 올해는 콘텐츠 다양성 확보에 중점을 두고 지역 상권의 데이터 분석 대상 지역을 확대합니다. 서울 주요 18개 상권에 집중한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부산ㆍ대전ㆍ광주로 분석 지역 범위를 넓혀 4개 도시, 54개 상권, 33개 업종에서 발생한 KB국민카드 회원 215만 명의 소비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매경TV 핫플레이스>는 KB금융그룹의 분석 역량과 함께합니다. 올해는 지난해 협업한 KB국민카드와 더불어 KB국민은행도 함께해 데이터 분석을 고도화했습니다.

먼저 KB국민카드 AI데이터사업그룹은 직장인, 외국인, 학부모 등 고객을 세분화한 소비 인사이트를 도출해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에 맞춤형 비즈니스 솔루션 사업을 진행합니다.

동시에 KB국민은행은 빅데이터 분석으로 자산, 소득, 대출, 보험, 투자 등 고객의 입체적인 금융 현황을 컨설팅하는 ‘KB금융데이터’ 상품을 제공합니다.

KB국민카드 관계자는 “2년째 상권 및 소비 트렌드를 전하는 매경TV 핫플레이스에 KB금융그룹만의 분석 역량을 더할 예정이다”라고 말했습니다.








2024년 눈길을 사로잡은 <매경TV 핫플레이스> TOP3

2024년 한 해 동안 제일 많은 관심을 끈 <매경TV 핫플레이스> 콘텐츠 TOP3를 소개합니다. 모든 콘텐츠는 매일경제TV 웹사이트 내 ‘핫플레이스’ 카테고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2분기 핫플은 서순라길? 동네 주민 매출 분석 결과

우리 동네 사람들은 ‘힙함’보다 ‘밥심’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주요 상권에서 동네 거주자의 외식업 매출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밥심’을 외부 방문객에게 내어준 동네도 있었습니다. 바로 익선동ㆍ서순라길ㆍ종로3가입니다. 이 지역에서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 외국식ㆍ패스트푸드 매출액 비중 차이가 지난해 1분기 14.3%에서 2분기 3.3%로 크게 줄었습니다. 그만큼 ‘먹으러 오는’ 외부 방문객이 눈에 띄게 늘었다는 의미입니다.





연령별 카드 데이터 비교, 60대 이상 시니어 핫플레이스

‘나만의 라이프 스타일’을 즐기는 어른들을 포착했습니다. ‘액티브 시니어’, ‘디지털 시니어’로 불리는 60대 이상 소비자는 어디서, 무엇을 즐기고 있을까요? 2024년 서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시니어 핫플레이스와 업종을 분석한 결과, 교대ㆍ강남을 찾은 60대 이상은 20대보다 ‘의류’를 32.3%만큼 더 소비했습니다. ‘의류’가 10개 상권에서 시니어 선호 업종 TOP3에 이름을 올렸는데요. 이는 시니어가 20대보다 오프라인 쇼핑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잘 보여주는 결과였습니다.





연 매출 증가율 13.8% 이끄는 소비 트렌드 뉴노멀

댄스ㆍ보컬 업종에서 소비자 트렌드 변화를 포착했습니다. 2023년 동기 대비 2024년 1~4분기 내내 이용 회원 수가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특히 2024년 4분기 가장 많이 성장한 TOP5 업종 모두 ‘취미’와 ‘경험’ 분야에 속했습니다. 사람들은 ‘내가 정말 좋아하고, 가치 있다고 여기는 경험’에 기꺼이 지갑을 열고 있었습니다. 2024년 서울 핫플레이스의 최종 승자는 바로 해방촌ㆍ후암동이었습니다. 다만, 바짝 뒤를 쫓아온 상권도 있었습니다.





데이터가 전하는 가장 객관적인 핫플레이스

2주에 한 번 발행되는 <매경TV 핫플레이스> 콘텐츠는 매일경제TV 웹페이지 및 SNS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 ‘매경TV 핫플레이스’를 입력해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박시현/park.sihyeon@mktv.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