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비스포크 AI 신제품
스크린 확대해 접근성 높여
‘보이스 ID’로 초개인화 제공
보안 솔루션 ‘녹스’ 적용 확대
“고객의 귀찮은 일 모두 해결”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기반의 2025년형 생활가전 라인업을 선보이며 ‘AI 홈’ 시대를 본격화했다.
냉장고, 세탁기 등 주요 가전에 대형 스크린과 AI 기능을 접목해 한층 진화한 스마트홈 경험을 제시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8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에서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를 개최하고 2025년형 AI 가전제품과 서비스를 대거 공개했다.
새로운 AI 가전 솔루션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Easy to Use), 사용자를 돌보며(Care),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는(Saving) 것을 핵심 가치로 한다.
신제품으로는 △AI
하이브리드 쿨링 기능을 갖춘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 △국내 최대 세탁·건조 용량을 갖춘 올인원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 △세계 최고 수준의 400W(와트) 흡입력을 자랑하는 ‘비스포크 AI 제트’ 스틱 청소기 △특허 모터 기술을 탑재해 흡입력을 기존 대비 2배 이상 끌어올린 ‘비스포크 AI 스팀’ 로봇청소기 등을 선보였다.
 |
삼성전자가 28일 진행된 ‘웰컴 투 비스포크 AI’ 제품 체험 행사에서 인공지능(AI) 가전 신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였다. [사진 제공 = 삼성전자] |
올해 신제품의 특징은 스크린의 확대다.
사용자의 AI 가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제품군을 기존 패밀리허브 냉장고, 세탁건조기에서 일반 냉장고와 세탁기, 건조기, 인덕션, 오븐까지 대폭 확대했다.
또 가족 구성원의 목소리를 구분해 인식하는 ‘보이스ID’ 기능을 도입했다.
사용자는 “내 일정 알려줘” 등 음성 명령만으로 맞춤형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내 폰 찾기’ 등 개인화 서비스도 가능해졌다.
특히 더 강력한 AI 홈을 구축하기 위해 보안 시스템을 강화했다.
패밀리허브에만 지원됐던 ‘녹스 매트릭스’를 와이파이가 탑재된 모든 가전기기에 도입했다.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기술인 녹스 매트릭스는 연결된 기기들이 보안 상태를 상호 점검하다가 외부 위협이 감지되면 해당 기기의 연결을 끊고 바로 조치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
또 비밀번호와 인증 정보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클라우드 서버가 아닌 하드웨어 보안 칩에 별도로 보관하는 ‘녹스 볼트’를 올해 스크린 탑재 가전, 로봇청소기 등 가전기기에 최초로 적용하고 양자컴퓨팅의 공격에 대비한 ‘양자 내성 암호’ 기술도 도입했다.
문종승 생활가전(DA)사업부 개발팀장(부사장)은 “고객들이 귀찮고 어렵고 힘들어하는 문제들을 작은 것 하나까지 해결하겠다는 일념으로 의미 있는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있다”며 “기술 리더십을 기반으로 삶을 바꾸는 제품을 지속해서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25일 한종희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 겸 DA사업부장이 갑작스럽게 별세하며 생긴 생활가전 리더십 공백과 관련해서는 “이전부터 구체적으로 사업추진 방향을 세웠기 때문에 차질 없이 진행할 수 있다”며 “모든 임직원이 혁신에 매진하고 있고,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