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채공화국 대한민국 ◆
한국의 국가총부채가 사상 처음 6200조원을 돌파했다.
연평균 300조원씩 부채 증가 추세가 이어지면 12년 후인 2037년에는 1경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최근 홈플러스 사태에서 보듯 이제는 가계부채뿐만 아니라 기업부채 문제가 한국 경제의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어 금융당국의 촘촘한 부채 관리가 요구된다.
20일 국제결제은행(BIS)이 업데이트한 국가별 부채통계를 살펴보면 지난해 3분기 말 가계·기업·정부 부문을 통틀어 한국의 국가총부채는 6221조원으로 집계됐다.
BIS는 국제 비교를 위해 분기마다 부문별 부채와 총부채 규모를 발표한다.
한국의 국가총부채는 2021년 3월 말 사상 처음 5000조원을 돌파한 후 3년도 안된 2023년 말 6000조원을 넘어섰다.
최근 5년간 연평균 국가총부채 증가율은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크게 앞선다.
2019~2024년 5년간 명목GDP가 평균 4.6% 증가한 데 비해 국가총부채는 6.7% 늘었다.
부채 증가 속도는 정부와 기업 부문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정부와 기업부채는 연평균 7.8% 늘었다.
가계부채 증가 속도는 연평균 5%였다.
기업부채는 지난해 3분기 말 2797조원으로 6년 만에 1000조원 급증했다.
기업부채는 주로 부동산과 첨단 산업 부문에서 집중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간 이어지는 건설 불황이 기업부채의 뇌관이라는 우려도 이 때문이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3년 연속 버는 돈보다 이자로 내는 돈이 많아 이자보상비율이 1 미만인 한계기업(좀비기업)은 2015년 2688개에서 2023년 3950개로 8년간 47% 늘었다.
같은 기간 한국의 GDP는 38% 증가했다.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