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삼성생명삼성화재 자회사 편입을 승인했다.

보험업계에서는 양사가 2028년 이후 본격적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9일 금융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삼성생명삼성화재를 자회사로 편입하는 건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삼성화재의 최대주주인 삼성생명삼성화재 지분을 15% 넘게 보유할 수 있게 됐다.


앞서 지난달 13일 삼성생명은 금융당국에 삼성화재를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해 승인을 신청했다.

삼성화재가 정부의 밸류업 정책에 따라 자사주를 소각할 시, 삼성생명삼성화재 보유 지분이 보험업법 허용 기준을 초과하기 때문에 자회사 편입을 해결책으로 찾은 것이다.


보험업법은 보험사가 자회사가 아닌 기업의 지분을 15% 넘게 보유할 수 없도록 규정한다.

삼성화재가 주주환원 확대를 위해 다음달 자사주를 소각하면 삼성생명삼성화재 지분율은 올해 15.9%로 확대되는 데 이어 2028년에는 17%까지 올라간다.


금융당국은 이번 자회사 편입이 실질적으로 지배구조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는 판단하에 승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지배구조가 변하는 게 아니라 밸류업 과정에서 기계적으로 늘어난 지분을 해소하기 위해 진행했다는 것이다.


이완삼 삼성생명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최근 콘퍼런스 콜에서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에 따라 손익이나 자본 비율 등 경영활동 전반에 대한 변화는 없다"고 말했다.


양사는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시장에서 각각 1위 사업자다.

특히 최근에는 삼성화재의 약진이 두드러지는 모양새다.

지난해 삼성화재는 전년 대비 14% 성장한 2조736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순이익이 2조원을 넘긴 건 역대 최초다.

삼성화재는 이날 주주총회에서 역대 가장 높은 금액의 배당도 의결했다.


[박창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