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1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냉난방공조 전시회 'ISH 2025'에 참여한 삼성전자(왼쪽)가 인공지능(AI) 기능으로 더욱 강력해진 냉난방 솔루션을 선보이고 스마트싱스를 통한 연결 편리성을 소개했다.

LG전자는 자연냉매(R290)를 적용한 히트펌프인 '써마브이 R290 모노블럭'을 전시했다.

삼성전자·LG전자


삼성전자LG전자가 고효율 냉난방공조(HVAC) 시스템을 앞세워 유럽 시장을 공략한다.


삼성전자는 17~21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는 냉난방공조 전시회 'ISH 2025'에 489㎡ 규모의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인공지능(AI) 기능으로 강력해진 냉난방공조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17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우선 200ℓ 전용 물탱크를 탑재한 가정용 히트펌프 에코히팅시스템(EHS) '슬림 핏 클라이밋허브'를 전면에 내세운다.

7형 터치스크린 기반의 'AI홈'을 탑재해 편의성을 높였고, 600㎜ 깊이의 디자인으로 집 안 빌트인 가구와 잘 어울린다.


EHS는 주거·상업시설의 바닥 난방과 급탕에 사용되는 제품이다.

공기 열과 전기를 이용해 온수를 만들 수 있어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보다 효율이 높고 탄소 발생도 적다.


삼성전자는 자연냉매(R290)를 적용하고 최대 75도 고온의 물을 공급하는 히트펌프 EHS 제품 'EHS 모노 R290'도 소개한다.


아울러 섬세한 습도 감지·제어 시스템을 갖춘 에어컨 신제품 '비스포크 AI 무풍콤보'와 삼성 스마트싱스를 통한 연결 편리성을 소개하는 전시 코너도 마련했다.


방문객은 호텔·소매점 등 다양한 상업용 공간을 위한 냉난방 에너지 관리 솔루션도 확인할 수 있다.


LG전자는 492㎡ 규모 부스를 조성하고 주거용부터 상업용까지 유럽 지역 특성에 최적화한 고효율 히트펌프를 대거 선보인다.

유럽은 주거용 에어컨 보급률이 낮고 난방기 보급률이 높은 편이다.


LG전자의 대표적인 주거용 히트펌프는 '써마브이'다.

이 제품은 외부 공기에서 얻는 열에너지를 활용해 실내 냉난방 및 온수를 공급하는 공기 열원 히트펌프다.

화석연료를 태운 열로 난방하는 기존 보일러보다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LG전자가 자체 개발한 고효율 인버터 스크롤 컴프레서를 적용해 에너지효율도 우수하다.


자연냉매를 적용한 '써마브이 R290 모노블럭'은 유럽 단독주택에 최적화한 제품으로 중소형부터 대용량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갖췄다.

이 제품은 유럽 ErP 에너지등급 중 가장 높은 A+++를 충족한다.


LG전자는 다세대주택을 위한 고효율 히트펌프 '써마브이 모노블럭 G'도 전시해 주거 형태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여러 솔루션을 제시한다.


상업용 솔루션으로는 지구온난화지수(GWP)가 기존 냉매의 30% 수준인 R32 냉매를 적용한 '인버터 스크롤 칠러'와 고성능 AI 엔진을 탑재해 알아서 냉방 세기를 조절하는 '멀티브이 아이' 등을 소개한다.


[박승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