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이 금융당국 경영실태평가에서 한 단계 하향된 3등급을 받으면서 보험사 인수 승인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융당국은 금융지주사가 자회사를 편입할 때 2등급 이상의 평가를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다만 3등급을 받아도 자본건전성 등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점수를 받으면 인수가 승인될 수 있어서 우리금융은 자본 확충에 전념할 방침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번주 금융감독원은 우리금융지주에 경영실태평가 3등급을 통보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경영실태평가를 비롯해 이번 인수의 타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오는 5월께 승인 여부를 최종 의결할 방침이다.


금융지주의 경영실태평가는 리스크 관리(40%), 재무 상태(30%), 잠재적 충격(30%) 등 세 부문으로 나뉜다.

우리금융은 내부통제를 다루는 리스크 관리 부문과 자회사 관리를 다루는 잠재적 충격 부문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은행은 전 회장의 친인척과 관련한 730억원의 불법 대출을 포함해 2000억원대에 달하는 부당 대출 과정에서 내부통제 관련 지적을 받아왔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금감원이 우리금융 경영실태평가를 이례적으로 일찍 낸 것을 두고 추후 공정성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고 관측한다.

금감원이 정기 검사를 마치고 경영실태평가 결과를 도출하기까지는 통상 1년 내외의 시간이 소요돼왔는데, 우리금융지주는 정기 검사가 지난해 말 종료된 점을 고려했을 때 두세 달 만에 등급이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금융권의 관심은 이번 등급 조정이 우리금융지주의 보험사 인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쏠린다.

우리금융은 4대 금융지주 가운데 연결 실적 면에서 만년 4위로 평가됐는데, 타 금융그룹과 비교해 포트폴리오가 다채롭지 않다는 게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8월 1조5500억원에 동양생명과 ABL생명을 인수하기로 결의하고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올해 1월 금융위에 자회사 편입 심사를 신청하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박창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