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발 땐 무관용 원칙”…서울시, 집값 뛰는 강남3구·마용성 대상 투기세력 현장 점검

서울 송파구 잠실동 일대 아파트 단지 [김호영 기자]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집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을 대상으로 서울시가 주택 투기세력 차단을 위한 현장 점검반을 투입했다.


14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주부터 해당 자치구와 합동 현장 점검반을 편성해 허위 매물이나 가격 담합 등 불법행위를 단속 중이다.

불법행위가 적발될 경우 수사를 의뢰하고 국세청에 통보하는 등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주택시장 안정 유도를 위한 주택 공급도 지속할 계획이다.


시는 서울 시내 아파트 입주 물량을 올해 4만7000가구, 내년 2만4000가구로 추산하고 있다.

2023∼2024년 신규 입주 물량(6만9000가구)을 웃도는 규모다.


올해는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통해 3만2000가구,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청년안심주택을 통해 1만5000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정비사업이 1만3000가구,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청년안심주택이 1만1000가구다.


특히 올해 입주 예정 물량 가운데 30.9%인 1만4000가구가 강남 3구와 강동구에 집중돼 있어 공급 주택에 따른 시장 악화는 없을 것으로 시는 내다보고 있다.

동남권 주요 입주 단지는 서초구 메이플자이, 송파구 잠실래미안아이파크, 강남구 청담르엘 등이 있다.


시 관계자는 “올해는 11·12월에 대단지 입주가 집중됐는데 통상 대단지 입주는 시작 이후 6개월까지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쳤다”면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내년 상반기까지 전월세 시장에서 매물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시는 2027년 신규 주택 공급 물량에 대해 적게는 2만3000가구부터 많게는 2만5000가구로 예상했다.


시는 중장기적 주택 공급을 위해 재건축·재개발 착공이 된 62개소는 사업이 지연되지 않게 관리하며 착공 전 사업장 역시 공정 관리를 통해 주택이 예정대로 공급되도록 방침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