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대감에···1월 주택매매 소비심리 ‘쑥’

국토硏 조사…반년새 반등
집값은 서울 위주로만 올라
민간아파트 분양가 재상승

서울 송파구의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서울의 주택 매매 소비심리지수가 6개월 만에 반등했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를 중심으로 매수 심리가 되살아나고 있는 데다 토지거래 허가구역 해제 기대심리도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17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1월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택 매매 소비심리지수는 110.4로 전월(107.7)보다 2.7포인트 상승했다.

이 지수는 지난 7월 140.6으로 정점을 찍은 뒤 5개월 연속 하락했다가 이번에 반등했다.


부동산 시장 소비심리지수는 95 미만이면 하강, 95~115 미만이면 보합, 115 이상이면 상승 국면으로 나눈다.

서울과 함께 경기의 주택 매매 소비심리지수는 지난해 12월 100.2에서 올해 1월 103.8, 인천은 98.4에서 104.1로 각각 올랐다.


지방 주택 매매 심리지수도 99.6으로 전월보다 0.8포인트 올랐다.

지역별로는 강원(94.1→102.2), 경북(93.4→100.2), 전북(102→108.3)의 지수 상승 폭이 컸다.

반면 울산(110.5→105.2), 대구(98.8→94.7) 등은 내림세를 벗어나지 못했다.


올해 1월 전국 주택 가격은 서울 일부 지역에서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의 1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 가격은 0.1%, 전셋값은 0.02% 하락하고 월세는 0.08% 올랐다.


매매의 경우 전국, 수도권, 지방 모두 하락했지만 서울만 0.04% 상승했다.

서울·수도권은 국지적으로 강한 매수세를 보이는 지역과 수요가 위축되는 지역이 혼재했다.

지방은 입주 물량 영향 지역과 구축 단지 위주로 하락하는 등 전국 하락 폭을 키웠다.


서울에선 송파구(0.22%)가 잠실·신천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서초구(0.15%)는 반포·서초동 선호 단지 위주로 오름세를 주도했다.

부동산원 측은 “서울·수도권 내 재건축 등 주요 단지에 대한 선호가 지속되고 있지만 전국적인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관망세가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1월 말 기준 전국 민간 아파트 3.3㎡(1평)당 평균 분양가격은 1900만원으로 작년 12월보다 0.59% 올랐다.

이날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지난해 11월까지 상승하다가 12월 하락했지만 1월 다시 반등했다.

지방 상승률(1.38%)이 서울(0.1%)이나 수도권(0.04%)보다 컸다.


서울 민간 아파트 3.3㎡ 분양가는 평균 4413만원이었다.

서울 민간 아파트 분양가격은 지난해 초 소폭 등락을 반복하며 오름세를 이어오다가 지난해 11월 3.3㎡당 4700만원대를 돌파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상승세가 꺾이는 듯했지만 해가 바뀌자 다시 소폭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HUG가 발표하는 월별 평균 분양가격은 공표 직전 12개월 동안 분양 보증서가 발급된 민간 분양 사업장의 평균 분양 가격을 뜻한다.


3.3㎡당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60㎡ 이하 4465만5000원 ▲60㎡ 초과~85㎡ 이하 4617만2000원 ▲85㎡ 초과~102㎡ 이하 4969만6000만원 ▲102㎡ 초과 4653만9000원으로 소형 평형은 평균 4500만원을 밑돌았다.


HUG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전국 신규 분양 민간 아파트 물량은 총 2742가구로 전년 동월(1만3213세대) 대비 62%나 줄었다.

지역별로 수도권 신규 분양 가구 수는 총 767가구, 5대 광역시와 세종시는 총 549가구, 기타 지방은 1426가구로 집계됐다.

서울은 전년 동월(162가구) 대비 약 3배 많은 482가구로 나타났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