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가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이자 경쟁사인 대만 TSMC에 2개 분기 연속 매출에서 밀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주도권이 실적을 좌우하면서, 두 회사의 매출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 부문인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지난해 4분기 매출 30조1천억 원, 영업이익 2조 9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예상보다 부진했으나, 메모리 반도체 부문에서는 모바일과 PC용 수요 약세에도 불구하고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에 힘입어 4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다만, AI 열풍 속에서 수요가 폭증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주도권을 놓쳤고, AI 반도체 생태계를 이끄는 엔비디아 공급망에도 합류하지 못한 점이 매출 성장을 제한한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엔비디아의 AI 칩 생산을 사실상 독점하는 TSMC는 AI 반도체 수요 증가에 힘입어 지난해 4분기 매출 8,684억6천만 대만달러(약 38조 4천억 원)를 기록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 TSMC의 응용처별 매출을 보면, AI가 활용되는 고성능컴퓨팅(HPC) 비중이 53%를 차지하며 기존 최대 비중이었던 스마트폰(35%)을 크게 앞질렀습니다.
지난해, 두 회사의 매출 격차는 2분기에는 28조 원대에서 근소한 차이를 보였으나, 3분기에는 약 3조 원, 4분기에는 8조 원까지 확대됐습니다.
지난해 3분기 삼성전자 DS 부문 매출은 29조 2,700억 원, TSMC 매출은 7,596억9천만 대만달러(당시 환율 기준 약 32조3천억 원)로 집계됐습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