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100m 태극기 게양대 대신”...광화문에 이것 설치해 세계적 명소 만든다는데

서울시 광화문광장 ‘감사의 정원’ 조성계획
6·25 참전국에 감사 의미 담은 ‘감사의빛 22’
참전국 채굴 석재로 5.7~7m 높이 조형물 설치
참전국과 소통하는 공간 조성…연내 준공 목표
바로 옆 세종로공원은 ‘도심숲’으로 새로 태어나

논란됐던 100m 태극기 게양대는 사실상 철회

서울 광화문광장에 6·25에 참전한 22개국에서 들여온 석재로 만든 ‘감사의 정원’이 들어선다.

한국전쟁 발발 75년을 맞아 광화문광장에 지금의 대한민국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 우방국에 감사를 전하고, 세계와 소통하는 공간을 만든다는 구상이다.


서울시는 “6·25 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담은 상징공간 ‘감사의 정원’ 조성에 들어간다”고 3일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감사의 정원 조성 계획과 함께 설계공모로 진행된 상징조형물 당선작 ‘감사의 빛 22’도 직접 공개했다.


오 시장은 “당시 우방국의 도움이 없었다면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번영은 결코 있을 수 없었을 것”이라며 “대한민국 국가와 국민의 정체성이 오롯이 담긴 광화문광장에 ‘감사의 정원’을 만들어 이곳을 찾는 세계인에게 감동을 전하겠다”고 말했다.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사업 대상지. <제공=서울시>
감사의 정원은 서울 광화문광장과 정부서울청사 별관 사이 공간에 들어선다.

이곳에 서울시는 우방국에 대한 감사를 일상 속에서 기억하는 상징조형물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조형물은 참전국을 상징하는 22개 검은 화강암 돌보, 보 사이의 유리 브릿지 등으로 구성된 지상부와 참전국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감사의 공간이 들어선 지하부로 구성된다.


‘감사의 빛 22’ 지상부 예상도. <제공=서울시>
이날 공개된 ‘감사의 빛 22’의 핵심은 6·25 참전국에 대한 감사를 시각화한 높이 5.7~7m 높이의 22개 조형물이다.

지상부에 설치되는 ‘감사의 빛 22’는 22개 참전국에서 채굴된 석재를 활용해 만들어진다.

측면에는 참전국 고유 언어로 애송시, 문학작품, 글귀 등을 새겨 참전용사의 희생을 기린다는 계획이다.


1950년 일어난 6.25 전쟁에는 군사적 지원 16개국, 의료·인도적 지원 6개국 등 총 22개 국가에서 195만 명이 참전했다.

서울시는 “22개 조형물은 한국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를 상징한다”며 “다채로운 빛 연출이 가능해 우방국 기념일 등에 빛을 활용해 감사의 예우를 표현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지난 해 6월 100m에 이르는 대형 태극기 게양대를 포함한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조성계획을 발표했다가 거센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서울시가 이날 공개한 지상부 예상도에 따르면 태극기 게양되는 사실상 철회된 것으로 보인다.


‘감사의 빛 22’ 지하부 예상도. <제공=서울시>
‘감사의 빛 22’ 지하에는 우방국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상징공간이 들어선다.

22개국의 현지 모습을 영상, 이미지로 접하는 미디어월 등이 조성된다.


감사의 빛 22 인근에 들어서는 세종로공원의 모습도 공개됐다.

서울시는 “세종로공원 종합정비로 탄생하는 세종로공원은 경복궁의 넓고 트인 공간감과 대비되는 밀도 높은 도심숲으로 조성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세종로공원을 세 개의 파빌리온(정자), 숲공원 등이 어우러지는 서울의 새로운 명소로 조성해 매년 3000만명의 방문객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도심 한복판에 위치해있지만 혹서·혹한기 등에 이용하기 힘들었던 야외 광장의 한계를 넘어 지하까지 확장해 ‘사계절 즐기는 광화문광장’으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광화문광장 상징공간과 조형물은 연내 준공을 마치고, 세종로공원은 2027년 5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 시장은 “대한민국을 이뤄온 감사의 뜻을 표하는 동시에 과거의 희생과 미래를 향한 감사를 승화시킨 의미있는 조형물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