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국 부동산원 발표
“비수기 관망세에 매수 심리 둔화”
 |
(사진=연합뉴스) |
지난 해 3월부터 이어져 온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9개월 만에 멈췄다.
대출 규제로 주택 구매 자금을 빌리기 어려워진 데다가 탄핵 정국에 경기 부진 우려까지 겹치며 매수 심리가 얼어붙은 것으로 보인다.
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12월 다섯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률은 이번 주 0%를 기록했다.
작년 3월 넷째 주 상승 전환한 이후 41주 만에 상승세가 멈춘 것이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10곳에서 전주 대비 아파트값이 내렸다.
다만 서울 내에서도 변동 폭은 큰 차이를 보였다.
송파구(0.06%), 서초구(0.03%), 용산·강남·종로·성동·강서구(0.02%), 양천구(0.01%) 등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반면 강동(0.00%→-0.02%), 동작(0.00%→-0.01%) 등은 하락 전환했다.
금천(-0.03%→-0.05%), 구로(-0.02%→-0.04%), 은평·강북·도봉·관악(-0.01%→-0.02%) 등은 낙폭을 확대했다.
이에 대해 부동산원은 “재건축 이슈가 있거나 신축인 단지 등에선 상승세가 국지적으로 포착되나 계절적 비수기 등에 따라 관망세가 심화되며 전반적인 부동산 매수 심리가 둔화되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한편 경기도(-0.02%)와 인천(-0.09%)도 내림세를 이어가며 수도권 아파트값도 2주째 하락했다.
다만 경기도에서도 안양 만안구(0.13%), 안양 동안구(0.10%), 과천시(0.08%) 등 일부 지역은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아울러 전국 집값은 0.03% 내려 7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5대 광역시(-0.05%)와 지방(-0.04%), 세종(-0.07%) 등도 모두 내림세가 지속됐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