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증시 기상도
조선·AI·콘텐츠 주목
트럼프가 화석연료 띄우자
운반선 만드는 조선업 기대
우주개발 미는 머스크 덕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망
전세계 인기 K콘텐츠 눈길
2025년 새해 조선과 인공지능(AI) 관련 서비스, K팝·K콘텐츠 기업이 국내 증시를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일 자본시장 업계에 따르면 올해 증권사들은 조선, 방산, K팝, K푸드, 게임, 화장품, 통신을 새해 유망 업종으로 꼽았다.
최근
삼성증권은 ‘2025 한국 증시’ 보고서를 통해 뱀띠 해인 올해 증시 키워드로 ‘S.N.A.K.E’를 제시했다.
각자도생(Solo Play), 천연가스(Natural Gas), 소프트웨어(After Hardware), 한국만의 강점(Korea Specialty), 일론 머스크(Elon Musk)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관련 업종이 유망하다는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가 출범을 앞둔 가운데
삼성증권은 트럼프 당선인과 머스크 CEO 수혜주가 유망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의 전략자산이 된 천연가스 수출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 조선업의 부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석유와 천연가스를 ‘액체 금’이라고 부르며 화석연료 생산을 늘리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미국의 천연가스 증산에 따라 북미용 액화천연가스(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해 재선에 성공한 후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하며 조선업 분야와 관련해 한국의 도움과 협력을 요청한 바 있다.
머스크 CEO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실세로 떠오르며 우주산업 규제 완화와 지원 확대도 예상된다.
삼성증권은 국내 우주 가치사슬 최상단에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유망하다고 밝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에 이어 차세대 발사체를 개발하고 있다.
미국 증시에서 AI 기업이 주도주가 된 가운데 국내 AI 관련주도 주목받고 있다.
국내 인터넷 대장주인 네이버는 AI 검색 기반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카카오는 AI 챗봇 서비스를 출시했고 생성형 AI를 활용해 상품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크래프톤은 게임 개발 시 대규모 인력과 시간이 필요한 오류 수정을 AI를 통해 해결하고 있고 게임에선 AI가 가상 플레이어 역할을 하도록 설정했다.
삼성증권은 전 세계에서 한국만의 강점이 있는 산업에 집중할 것을 제시했다.
신승진
삼성증권 투자정보팀장은 “한국의 강점은 슈퍼 지식재산권(IP)을 보유한 K팝과 K푸드에 있다”며 “상반기엔 YG엔터테인먼트, 하반기엔
하이브의 강세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올해 YG엔터테인먼트 소속 블랙핑크,
하이브 소속 방탄소년단(BTS)이 컴백을 계획하고 있다.
불닭볶음면 열풍으로
삼양식품의 성장세도 지속될 전망이다.
불닭볶음면은 국내 라면 업계 최초로 7억달러 수출을 달성했다.
미국 월마트에서 판매되는 불닭볶음면은 시중 다른 제품보다 3배 비싸지만 판매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삼양식품은 올해 밀양 제2공장 완공으로 생산능력이 40% 증가할 예정이다.
삼성증권은 경제 둔화 속에서도 독보적 성장 전략을 보유한 기업이 강세를 보일 것이라며
알테오젠과
디어유에 주목했다.
알테오젠은 올해 머크와 공동 개발한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SC’ 허가 신청에 나설 전망이다.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디어유는 일본, 미국 등에 진출하면서 해외 구독자 비중이 72%에 달한다.
유안타증권은 올해 반도체, 통신, 화장품, 플랫폼·게임, 미디어 업종 등에 ‘비중 확대’ 의견을 제시했다.
반도체는 올해 D램 비트그로스(비트당 출하량) 수요와 낸드 비트그로스 수요가 전년 대비 각각 23.5%, 18.2%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통신 업종은 AI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면서 각 사의 AI 사업이 구체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화장품 업종은 K뷰티,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업체들이 미국에서 선두를 유지하며 유럽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유안타증권은 올해 2차전지와 철강 업종 투자의견을 ‘중립’이라고 밝혔다.
2차전지 업종은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자동차 업체가 출시하는 전기차 모델 수가 전년 대비 25% 감소해 배터리 수요 공백기가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철강 산업은 중국 부동산 회복이 더디고 지방정부의 인프라스트럭처 투자 여력이 높지 않아 업황 부진이 계속될 것으로 관측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