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업권의 대출 규모가 14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2년3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1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상호저축은행의 여신 잔액은 지난 3월 말 기준 101조3천777억 원으로 전달(102조3천301억 원)보다 9천524억 원(1.0%) 줄었습니다.

저축은행 업권 여신 잔액은 지난해 1월 115조6천3억 원을 기록한 이후 14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했으며 지난 2021년 12월(100조5천883억 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이런 대출 감소는 고금리 등으로 영업환경이 악화했기 때문입니다.

저축은행 업권은 2022년 말 고금리 특판 상품으로 이자비용이 증가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충당금 부담이 늘어나면서 보수적인 대출 영업을 이어갔습니다.

올해도 금융당국이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기준을 강화함에 따라 충당금 적립이 늘고 경·공매 부담이 가중되면서 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최근 '부동산 PF 손실인식 현황과 추가손실 전망'이란 보고서에서 저축은행 업권이 사업성 평가기준 개선안에 따라 추가로 적립해야 하는 충당금 규모를 1조∼3조3천억 원으로 분석했습니다.

또한 저축은행 업권의 순손실 규모는 지난해 5천633억원에서 올해 최대 2조2천억 원까지 손실 규모가 커질 수 있다고 봤습니다.

국제결제은행(BIS) 자본비율은 작년 말 14.4%에서 올해 말에는 12.3∼14.4%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나신평은 "손실흡수여력이 미흡한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금융당국의 권고 수준인 11%에 미달하는 BIS자본비율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돼 추가적인 자기자본 확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양호한 자본적정성, 대주주의 지원능력을 고려하면 과거와 같은 저축은행 사태의 재현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라며 "다만, 부동산시장의 빠른 회복이 전제되지 않는 경우 현재의 충당금 수준은 낙관할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 이유진 기자 / ses@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