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한국 선제 공격시 체제 붕괴한다는 것 알아...변수는 한미 동맹”

日한반도 전문가 히라이와 슌지 난잔대 교수
아사히 신문과 인터뷰서 밝혀
최근 북일 정상회담설에 대해서는
“양측 본격교섭 도달 못한 듯...北측에 동기 안보여”

기시다 총리가 지난해 11월 도쿄에서 열린 ‘납북 피해자 귀국을 요구하는 국민대집회’에 참석해 북일 정상회담을 통한 해결 의지를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납북 피해자 조기 귀국 등을 위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추진 중이라고 하나, 양측이 본격 교섭에 이르지는 못했을 것이라는 일본 측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18일 아사히 신문에 따르면, 일본 내 한반도 전문가로 꼽히는 히라이와 슌지 난잔대 교수는 이 신문에 “북한과 일본이 본격 대화를 할 것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북한의 이러한 태도에 대해 “한미일 협력을 흔들려는 것”이라며 “북한이 지금 스스로 양보까지 하면서 일본과 협의에 나서야 할 동기는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 2월 “일본 수상이 북한을 방문하는 날이 올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언급한 데 이어 3월에는 “일본 측으로부터 정상회담 제의를 받았다” 고 언급했다.

다만, 김 부부장은 예상대로 일본 정부가 납치 문제를 장애물로 인식하지 않고 북한의 정당방위에 문제를 제기하지 않아야 된다는 단서를 달았다.


히라이와 교수는 북한이 일본과 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한국에 대한 메시지이기도 하다고 분석했다.

그는 “일본이 북한과 대화할 수 있다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면 그것으로 북한은 좋다” 며 “한국 정부가 크게 양보해 한일관계를 개선했는데 일본은 대북정책에서 한국을 배신하고 있으므로 한국 정부의 대일 정책은 실패라는 주장의 근거가 된다면 좋겠다고 보는 건 틀림없다”고 말했다.


히라이와 교수는 일각에서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분석을 내놓은 데 대해 결국 한미동맹이 변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선제 공격을 한다면 자신들의 체제가 붕괴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한미 동맹이 원활히 기능하지 않아 반격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했을 때 그들은 선제 공격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7년 NHK 일요토론에 나와 북한을 둘싼 정세에 대해 이야기하는 히라이와 슌지 교수. [사진=X 캡처]
그는 북한이 최근 한국을 적대국으로 규정하고 평화통일을 포기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서는 북한이 1980년대 이후 북 주도의 통일이 어렵다는 것을 전제로 통일 추진을 미뤄왔다는 점을 근거로 정책이 크게 전환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한국을 ‘대미 관계에서 도움이 되고 있는 정권인가’ ‘공존할 수 있는 상대인가’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보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전자는 한국 정권이 우파인가 좌파인가와는 상관이 없고, 공존은 일단 좌파일 때 가능할 것”이라며 “북미 관계에 사용 가능한 정권이 한국에 등장한다면 예전처럼 한국이 동포라는 자세를 취할 수 있겠지만 통일을 지향할 상대로 인식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