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5%대 초반을 기록하며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돌았다.

다만 가장 최근인 3월 지표는 다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경기 전망이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한 29조6299억위안(약 5700조2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로이터통신 시장 전망치(4.6%)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지난해 전체 경제성장률(5.2%)을 비롯해 4분기 성장률(5.2%)보다도 다소 높았다.


1분기 GDP 호조는 수출 및 설비 투자 증가 효과로 보인다.

지난 1~2월 수출액은 달러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늘었다.

1분기 설비 투자 역시 전년 동기 대비 9.9% 증가해 GDP 증가에 기여했다.


다만 투자는 공공 부문이 견인하고 있어 민간 투자 심리는 여전히 저조하다는 분석이다.

공공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하며 성장을 주도했는데, 이는 민간 주도 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하는 데 그친 것과 대조된다.


광업, 제조업 등 생산활동을 나타내는 산업생산과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1%, 4.7% 증가하는 등 호조를 보였다.

수출로 신규 주문이 늘고 중국 내 서비스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그러나 3월 경제지표만 보면 경기 전망은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소매판매의 경우 3.1% 증가했는데 이는 전망치인 5.1%를 밑돈다.

앞으로도 내수 소비가 견인하는 방식의 성장을 지속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뜻이다.


블룸버그는 3월 소매판매가 예상보다 부진한 점을 지적하며 "1~2월 춘제 소비 증가로 호조를 누렸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시 "소매판매는 올해 첫 두 달 동안 대부분 호조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3월 산업생산 역시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하며 전망치(6.0%)를 크게 밑돌았다.

이는 1~2월 산업생산 증가율인 7.0%를 하회한 것이다.


일각에선 3월의 양대 지표를 근거로 2분기 성장 둔화를 예상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싱가포르 옥스포드 이코노믹스의 수석 중국 경제학자 루이스 루는 "2분기에는 중국 경제성장률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1∼3월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4.5% 늘었다.

다만 부동산 개발 투자는 9.5% 하락해 침체한 부동산 경기는 여전히 회복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 중 주거 부문 투자는 10.5% 줄었다.

신축 상업용 건물 판매는 같은 기간 19.4% 감소했다.


[한재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